11월 수출 444억달러 -4.7%…수입 341억달러 -17.6%올해 교역 1조달러 달성 실패…수출입 11개월째 동반 감소
올해 들어 큰 폭으로 떨어지던 수출 감소세가 선박 수출 급증에 힘입어 다소 완화됐고 무역수지는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11월 수출액이 444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7%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밝혔다.
지난 10월 6년 만에 최대치인 15.9%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낙폭을 상당히 줄였다.
지난 5월 -11.0%로 크게 떨어졌던 수출액 감소폭은 6월 -2.6%, 7월 -5.2%로 다소 줄었다. 하지만 8월 -15.2%, 10월 -15.9%로 대폭 확대됐고 11월 들어 감소폭이 둔화됐다.
11월 수출액 감소폭이 줄어든 데는 선박 부문의 호조세가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 10월 해양플랜트 수출을 한 건도 기록하지 못하면서 전년 대비 63.7%나 감소한 선박은 11월에는 3척의 해양플랜트(총 26억5천만달러)를 수출하면서 133.7% 급등했다.
올해 11월과 비교 시점인 지난해 11월의 수출(-2.7%)과 선박 부문 실적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했다는 점도 상승폭을 키우게 했다.
통계적 기저효과가 11월 수출 완화세에 한 몫한 셈이다. 기저효과는 비교 대상 시점의 상황이 현재와 차이가 커서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6% 줄어든 341억달러로 파악됐다. 수출·수입액은 올해 들어 지난 1월부터 11개월 연속 동반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104억달러로 2012년 2월 이후 46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수출액보다 수입액 감소폭이 크게 확대되면서 무역수지 흑자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종전 최고 기록은 지난 6월의 99억달러 흑자였다.
11월까지 올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832억달러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 무역수지 흑자 416억달러보다 두 배가량 늘었다.
산업부는 “유가 등 원자재가 하락하면서 수입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11년 이후 4년 연속 이어오던 교역 1조 달러 기록은 올해 달성하지 못하게 됐다.
11월까지 교역 수지의 합은 총 8천860억달러로 1조 달러를 달성하려면 남은 12월 한 달 동안 1천200억 달러 이상의 실적을 올려야 하는데 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11월까지 1조48억 달러의 교역 실적을 보였다.
11월 수출 물량은 -0.2%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5월 -3.1% 이후 6월부터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지난 10월 -9.4%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다.
품목별 수출액 동향을 살펴보면 선박과 함께 무선통신기기가 23.6% 증가해 호조세를 지속했다.
하지만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은 유가하락 및 시설보수로 전년대비 각각 36.3%(14억달러), 24.0%(9억달러) 감소했다. 특히 유가의 경우 배럴당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77.1달러에서 올해 11월 41.6달러로 46.0%나 떨어졌다.
신흥시장의 수요가 감소한 자동차(-7.6%), 단가가 하락한 철강제품(-26.6%), 반도체(-9.6%), 평판디스플레이(-18.3%) 등 주력 품목 대부분이 감소세를 보였다. 컴퓨터(-19.6%), 일반기계(-13.7%), 섬유류(-10.7%), 가전(-26.0%) 등도 감소세였다.
신규 주력 품목에서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가 12.4%,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22.8%, 화장품이 50.3% 늘어나는 등 호조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도 주력 시장의 수출 감소세가 이어졌다.
대 중국 수출이 -6.8%를 기록했고 대 미국 수출도 -12.4%로 지난 10월 -11.5%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다만 10월 -12.5%로 감소세로 돌아섰던 대 EU 수출은 52.5%로 반등에 성공했다. 대 베트남 수출은 12.6%로 여전히 두자릿수 증가세를 지속했다.
자본재 수입은 1.2% 감소했고 소비재 수입은 5.7%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선박 부문의 해양플랜트 인도 물량 증가 등으로 수출 감소세가 완화됐다”며 “12월은 기저효과로 인해 유가영향 품목의 감소세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반도체 등 주력품목 수출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