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수혜 업종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국회 비준동의안이 30일 통과됨에 따라 산업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섬유·의류 및 문화 콘텐츠, 소비재 중심의 유통 서비스 등의 분야는 FTA 발효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반면 한·중 FTA 타결 당시 수혜가 예상됐던 자동차, 석유화학 및 항공, 기계 부문은 기대보다 수혜가 적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진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여·야·정 협의체 제4차 전체회의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가운데 윤상직(왼쪽 두 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합의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섬유·의류 분야는 중국의 개방폭이 커 우리 쪽 이익이 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0억 달러가 넘는 무역적자를 기록한 의류의 경우 중국에서 대부분의 품목에 관세 철폐를 수용한 만큼 이를 통한 무역 수지 개선이 기대된다.
화장품의 경우 현재 10%인 아시아 관세율이 10년 내 완전히 철폐됨에 따라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 특히 중국에서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만큼 관세 철폐 효과는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예(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등 문화 콘텐츠 분야 역시 수혜업종으로 꼽힌다. 중국 내 ‘한류’ 영향으로 잠재수요가 여전한 상황에서 국내 콘텐츠 업체들의 중국 진입장벽이 낮아지게 되면 시장 공략이 더 용이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은 이번 FTA를 통해 공연 중개 및 공연사업 분야에서 한국기업이 중국 현지 법인 지분을 49%까지 보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여행 분야도 FTA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국내 여행사가 중국 현지 대형 여행사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기·전자 업종은 이미 무관세 품목이 많아 FTA에 따른 직접적인 관세 철폐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전망이지만 비관세장벽 완화 효과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車 부품, 中 기술력 향상에 경제력 낮아져
또 수혜업종으로 꼽혔던 자동차·기계 분야의 경우 지난해 한·중 FTA 타결 당시보다 효과가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1년 사이 중국 내 실물경제가 악화되면서 수입 자체가 줄고 있고, 자동차 부품 부문에서도 중국 자체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국산 제품의 경쟁력도 상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다.
자동차 역시 이미 대부분의 차종을 중국 내에서 생산하고 있고 국내에서 수출하는 일부 고급차종의 경우 중국 내 수요가 많지 않아 큰 혜택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도 기대보다는 수혜가 낮을 것으로 분석된다.
당장은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이 수입액보다 13배 이상 높아 FTA 발효에 따른 효과가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높은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제품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 업체들로서는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12-0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