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기부 활동 넘어 임직원들 직접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
사회공헌 활동은 이제 ‘제3의 경영’으로 불릴 만큼 기업 경영의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사회공헌은 기업이 소비자의 상품 구매나 서비스 이용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는 만큼 그 이윤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라는 요구에 맞춰 시작됐다. 그러나 이를 통해 기업 이미지 제고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스스로 사회공헌을 중시하는 분위기다. 이제는 단순한 기부나 봉사활동을 넘어 회사가 가진 자원과 능력을 활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기업의 사회적인 존재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실제로 과거 산업화 시대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영활동은 ‘책임’이 아닌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당시 이제 막 성장하고 있는 기업들에 사회적 책임이란 의식 자체가 희박했다. 그러나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신청으로 대변되는 외환위기 사태를 맞으면서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도 달라졌다. 당시 수만 명의 근로자가 거리로 내몰리면서 기업은 국민들의 삶을 책임지는 곳이란 시각이 생겨난 것이다. 기업이 단순히 성장만 추구해서는 사회가 온전할 수 없음을 뼈아픈 경험으로 체득했다.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유럽형 사회적 기업의 개념이 도입되고 일자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회공헌의 필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불우이웃 돕기 성금’을 기탁하는 단순한 기부 수준에서 점차 다양한 방법의 사회공헌 활동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는 저녁 밥상에 필요한 밥 한 공기를 이웃집에서 빌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서로 부족했던 부분을 주변 이웃들과 함께 채웠던 정겨운 장면이 요즘에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일이 됐다. 집보다는 직장이 생활의 터전이 되고 이웃보다는 직장 동료가 인간관계의 중심으로 들어왔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기업들도 이 같은 흐름을 인식하고 보다 다양하고 세부적인 방법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단순히 이익의 일부를 환원하던 것에서 임직원 스스로가 직접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활동부터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보상 활동까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삼성그룹은 도서산간 지역 학교에 정보기술(IT) 기기와 교육 콘텐츠 등을 제공하고 계열사별로 임직원들이 지역 사회복지시설을 찾아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LG그룹은 지난 8월 경기도 파주 비무장지대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 사고로 다리를 잃은 두 장병에게 총 10억원을 위로금으로 전달해 우리 사회에 감동을 주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전국 각 지역 본부와 함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부부의 합동 결혼식을 올려 줬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취약계층 주택과 복지시설 등의 노후 급·배수관을 교체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펼치는 사회공헌 활동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GS칼텍스는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린이들을 상대로 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고, CJ그룹은 임직원과 대학교수진 등이 참여한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11-26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