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페달 밟지 않게”…통신기지국·레이더로 자율차 지원ICT 적용 스마트톨링·지능형교통체계도 도입
정부가 건설을 추진하기로 한 서울∼세종고속도로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사람의 조작이 필요없는 자율주행차가 달리는 ‘스마트하이웨이’가 될 전망이다.국토교통부는 19일 서울∼세종고속도로가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된 미래형 첨단도로 추진된다”며 “스마트톨링시스템과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자율주행차를 위한 인프라가 구축된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톨링시스템은 과속단속 카메라처럼 차의 번호판을 인식해 시속 100㎞ 정도로 달리는 상황에서도 ‘톨링존’을 지나가면 통행료가 결제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하이패스와 차량번호 영상인식기술, 근거리전용통신기술 등이 활용된다.
한국도로공사는 2020년까지 모든 고속도로에 요금소를 없애고 스마트톨링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인데 서울∼안성 1단계 구간을 내년 말 착공, 2022년 개통하는 것이 목표인 서울∼세종고속도로에도 도입되는 것이다.
지능형교통체계는 ICT를 활용해 주행 중인 차에 도로 위 장애물이나 사고 등 돌발상황 정보를 알려줘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국토부는 서울∼세종고속도로에 통신기지국이나 레이더 등 도로 상황을 감지해 차와 통신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 ‘부분적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자율주행은 방향조정이나 가감속 제어를 보조하는 1단계, 방향조정·가감속 제어를 통합적으로 보조하는 2단계, 돌발상황에만 수동조작으로 전환하는 부분적 자율주행인 3단계, 완전 자율주행인 4단계로 나뉜다.
오는 2020년까지 3단계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되 고속도로 등 인프라가 갖춰진 일정 구간에서 운행되도록 한다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 완전 개통 시기(2025년)를 고려하면 차 운전석에 앉아 서류를 검토하며 두 도시를 오가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차 페달을 안 밟고 달리도록 통신기지국, 레이더 등 시설을 갖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차를 위한 기반시설이 갖춰지는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자율주행차 값을 낮추는 데도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도로에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시설이 없으면 자율주행차 자체에 센서 등 값비싼 장비를 달아 차의 위치나 주변 상황 등을 파악해야 한다. 가령 구글차는 지붕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너 가격이 8천만원, 적외선카메라 등 센서 값이 1억6천만원이다.
국토부는 스마트하이웨이로 구축되는 서울∼세종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를 다른 고속도로와 같은 시속 110㎞에서 더 높여 잡지 않을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설계 이후 경찰과 협의 등을 해야겠지만 제한속도를 올리는 방안은 검토하지 않았다”며 “막히지 않고 사고 없는 고속도로를 원하지 초고속으로 달리길 원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