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 병원명 담긴 ‘주의 글’ 떠돌아”공개하면 환자 혼란 등 부작용 커”
“◇◇에 지금 메르스 바이러스 확진자들이 좀 나왔는데…(중략). 당분간 ○○병원 가지 마세요. △번 환자가 오늘 새벽 ☆☆(병원) 거쳐 ○○ 왔다가 메르스 확진 났다네요. 혹여나 병원근처엔 안가는 것이 좋겠습니다.(중략) 에볼라나 사스보다 심각할거라 예상된다 하니 조심하십시오.”29일 카카오톡 같은 SNS에는 이 같은 내용의 글이 떠돌아다녔다. “널리 퍼트려달라”는 당부와 함께 사람들 사이를 옮겨다니고 있는 이 글은 “밖에서는 양치도 하지 마라”,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긴급재난 1호 상황이라고 실시간 뉴스 뜨고 있다” 등의 정보도 사실인 양 담고 있다.
메르스 환자가 늘어나고 공포가 확산되면서 환자들이 방문한 병원과 해당 병원이 있는 지역에 대한 추측은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궁금증이 커져 유언비어성 글까지 떠돌고 있는 것은 보건당국이 환자 발생 지역이나 환자가 거쳐간 병원에 대해 공개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감은 커지지만 어떤 지역, 어떤 병원을 환자가 지나갔는지 확인할 수 없어 소문만 증폭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국민들이 답답해하는 중에도 보건당국이 계속 비공개를 고집하는 것은 현 상황에서는 이를 공표하는 것보다 공표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병원의 이름을 공개하면 치료를 받아야 할 다른 환자들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름을 공개해서 얻는 이익보다 공개하지 않아서 보는 손해가 더 작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이름을 공개하면 환자들이 혼란스러워하고 꼭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가 적기에 치료를 못받게 될 수도 있다”며 “이름 공개를 안하는 것은 환자 내원을 막을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병원을 공개할 경우 해당 병원이 신고를 꺼릴 수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병원이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오히려 방역체계에 더 큰 구멍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보건당국이 소문에 등장하는 병원이 어디인지에 대해 함구하고 있는 만큼 사실이 맞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지만, 적어도 떠돌아다니는 글의 상당 부분은 과장되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다.
접촉만으로 감염된다거나 외식은 되도록 하지 말고 양치도 밖에서 하면 안된다는 등의 소문은 메르스에 대한 제대로된 정보와 거리가 멀다.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긴급재난1호 상황이라는 뉴스가 뜬다는 것도 사실 무근이며 에볼라나 사스보다 심각할거라는 예상도 현재로서는 지나치다.
복지부는 다만 소문 중 감염 환자가 거쳐간 일부 병원에서 환자들이 다른 병원으로 전원조치됐다는 부분은 인정했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29일 브리핑에서 “해당병원의 의료진이 밀접 접촉자로 격리가 돼 있고 다른 의료기관으로 전원을 요청하시는 환자분들도 있어서 환자를 안전하고 적절하게 진료받을 수 있게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메르스의 국내 최초 감염자인 A(68)씨가 입원했던 한 병원의 경우 간호사 27명과 의사 4명이 자가 격리되면서 환자 50∼60명을 인근 병원으로 옮기거나 귀가시켰다.
권 국장은 “(환자가 지나간 병원에 대해) 좀 더 정밀한 조사를 취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며 “유언비어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하되 전파경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전문가와 함께 적극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