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자살자가 마지막 의지한 곳은…

농촌 자살자가 마지막 의지한 곳은…

입력 2015-04-30 07:13
수정 2015-04-30 07: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농촌 자살 25건 조사결과, 75% “의지할 곳은 병원·보건소가 유일”

60대이상·남성·중증만성질환·저학력·무직자 많아

농촌 지역 자살자가 마지막 선택을 하기 전까지 가장 의지한 대상은 지역병원이나 보건소와 같은 지역의료기관인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복지 시설이 부족한 지역적 특성 탓에 자살자 대부분이 의료기관 이외에는 어떠한 곳에서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 의료기관에 적정한 인력을 공급해 자살 예방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최명민 교수 등이 한국사회복지학 최근호에 발표한 ‘한국 농촌지역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 연구’ 논문을 보면 농촌 지역 자살자의 76%(지역병원 56%+보건소 20%)가 교류하던 사회적 지지체계는 보건의료체계가 유일했다.

최 교수팀은 농촌 지역 자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최근 수년간 자살률이 높았던 농촌 4곳의 자살자 25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유가족의 동의를 얻어 자살자의 심리적 부검을 실시했다.

심리적 부검이란 자살의 동기·원인을 추정하기 위해 수사기관, 의료기관 등의 정보는 물론 가족, 친구, 동료, 주변인의 진술 등 활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해 자살의 구체적 정황을 밝혀내는 작업을 말한다.

이번 연구는 유가족 뿐만 아니라 보건진료소, 마을 이장, 정신건강센터 직원 등을 포함해 사례당 평균 3.2명의 정보제공자를 확보해 면담을 진행했다.

조사 결과 자살자 25명 가운데 18명(72%)은 남성이었고 평균연령은 66.28세로 농촌지역의 노인 자살률이 높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는 없는 경우(60%)가 더 많았고 학력은 초졸(36%)이나 무학(24%)이 대다수를 차지할 정도록 학력이 낮았다. 직업도 무직인 경우가 64%로 가장 많았으며 일정한 수입이 있는 직업을 가진 경우는 3명에 불과했다.

사례자 가운데 걱정이나 문제를 공유할 만큼 신뢰할 사람이 있었던 경우는 8명에 불과했고 평소 연락하며 만나는 친구는 평균 1명도 되지 않았다.

특히 사례자 25명 가운데 21명은 만성질환자였으며 평균 질병 보유 기간도 11년으로 긴 편이었다.

이러한 특성 탓에 사례자 19명이 교류하던 사회적 지지체계는 지역병원이나 보건소가 유일했지만 해당 기관에서 자살 위험을 인지하고 여기에 제대로 대응한 경우는 드물었다.

”일주일에 4회 정도 물리치료를 받으려고 방문했지만 통증이 낫지 않았고 정신과 방문 권유나 질문은 받지 못했다”, “음독 후 응급실에 갔는데 아무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병원에서도 환자가 집에 가겠다고 하니 다시 집에 돌려보냈다”는 면담 내용이 대표적이다.

최 교수는 “고인의 상당수가 만성질환으로 장기간 지역의료기관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지역의료기관과 자살예방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자살 위험에 대한 지역 의료기관의 대응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장기적으로 농촌 가족이나 대인관계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를 개발하고 농촌지역의 건강유지를 위한 체력 강화 활동을 마련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