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고 펀드…성과는 ‘중국’ 인기는 ‘고배당’

올해 최고 펀드…성과는 ‘중국’ 인기는 ‘고배당’

입력 2014-12-25 10:15
수정 2014-12-25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중국 상하이주 레버리지 펀드, 가장 많은 자금을 끌어모은 펀드는 국내 고배당주 펀드로 각각 집계됐다.

2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지난 23일 기준으로 올해 수익률을 집계한 결과, 모든 유형의 펀드 2천575개 가운데 ‘삼성중국본토레버리지자1[주식-파생재간접]_A’가 82.91%로 최고 수익률을 나타냈다.

’KB중국본토A주레버리지자(주식-파생재간접)A CLASS’는 82.80%, ‘미래에셋차이나A레버리지1.5(주식-파생재간접)종류A’는 78.89%, ‘현대차이나대표기업레버리지1[주식-재간접파생]종류A’는 65.35%로 수익률 상위권 펀드는 모두 중국 레버리지 펀드였다.

상하이와 홍콩 증시간 교차 거래를 허용하는 ‘후강퉁’ 등으로 중국 상하이주가 급등하자 일정 비율로 지수보다 추가 상승·하락하는 레버리지 펀드의 수익률이 치솟은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펀드 다음으로는 ‘IBK인디아인프라[주식]A’(48.83%), ‘미래에셋인디아인프라섹터자 1(주식)종류A’(48.53%) 등 인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의 성과가 좋았다.

국내 주식형 펀드로는 ‘삼성KODEX운송상장지수[주식]’(30.43%)와 ‘미래에셋TIGER생활소비재상장지수[주식]’(29.17%) 등 특정 업종 펀드의 수익률이 좋았다.

조선업종이 장기간 불황에 빠졌고 러시아는 금융 불안이 커진 탓에 주가가 급락하면서 관련 펀드도 큰 손실을 냈다.

올해 국내 주식형 펀드인 ‘삼성KODEX조선주상장지수[주식]’(-47.57%)와 해외 펀드인 ‘미래에셋인덱스로러시아자(주식)종류C-e’(-44.49%)의 수익률이 가장 낮았다.

펀드 자금은 수익률과는 별개로 움직였다.

중국 펀드에서는 이익을 실현하거나 앞서 기록한 수년간의 손실을 줄이려는 자금이 대규모로 이탈했다.

국내 주식형 펀드로는 주가가 빠질 때마다 저가 매수성 자금이 유입됐으며 배당 확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안고 배당주 펀드가 인기를 끌었다.

올해 펀드시장의 스타는 단연 ‘신영밸류고배당(주식)C형’이었다.

제로인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하고 집계한 2천784개 펀드가 올해 모두 6천897억원의 순유출을 기록한 가운데 ‘신영밸류고배당(주식)C형’ 단일 펀드가 1조6천548억원을 쓸어담았다.

올해 채권시장이 강세를 보이자 ‘우리단기국공채 1[채권]C1’과 ‘ 한화단기국공채(채권) 종류C’ 펀드도 인기를 끌어 각각 8천984억원, 6천562억원이 유입됐다.

가장 많은 자금이 빠져나간 펀드는 ‘KB밸류포커스자(주식)클래스A’(8천924억원), ‘신한BNPP봉쥬르차이나 2[주식](종류A)’(5천311억원), ‘트러스톤다이나믹코리아50자[주혼] A’(4천884억원), ‘ 미래에셋인사이트자 1(주혼)종류A’(4천257억원)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