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입원 장기화… 이부회장 중심으로 전환 중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입원한 지 28일로 111일째인 가운데 삼성그룹이 이재용 부회장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수년 전부터 경영은 전문경영인에게 맡기고 ‘오너’로서 조언자 역할만 하던 이 회장과 달리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 등을 직접 진두지휘하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가시적인 경영성과를 내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거대 조직을 이끈 아버지와 같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지 ‘이재용 삼성’에 국내외 이목이 쏠린다.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 17일 중국 난징에서 열린 삼성전자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후원연장 서명식에 이 부회장이 나타나 직접 계약서에 서명했다. 올림픽 후원은 그룹총수가 직접 참석해 챙겨 왔던 일로 공개석상에서 이 부회장이 삼성그룹을 대표한 첫 행보라는 분석이다.
실제 최근 들어 이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서는 일이 부쩍 늘었다. 아직 검증되지 않은 경영능력을 증명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달 초 애플과의 미국 외 특허소송을 모두 철회한 것이나 애플에 모바일 D램 공급 재개 등도 이 부회장이 팀 쿡(애플 CEO)을 직접 만나 담판을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버지와 다른 부드러운 리더십도 곳곳에서 나타난다. ‘관리의 삼성’에서 벗어나 정보기술(IT) 기업다운 ‘유연한 삼성’으로 변하고 있다는 평가다. 자율출퇴근제를 전면 도입한 것이나 원인규명 불가를 이유로 7년간 끌어오던 삼성전자 백혈병 피해 근로자 문제에 대해 공식사과한 것 등도 이 부회장 체제 이후 삼성의 달라진 모습이다. 지난 27일 블룸버그는 이 부회장을 소개하면서 “그의 절제된 감각과 친근한 태도, 유창한 언어 능력 등은 삼성의 초점을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국제적 제휴 확대로 옮기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그가 삼성그룹 ‘총수’로 완전히 인정받으려면 넘어야 할 산들이 아직 적지 않다. 올 2분기 어닝쇼크로 위태로워진 삼성전자의 실적을 반등시킬 ‘미래 먹을거리’를 찾는 게 시급하다.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경영 선언으로 ‘이건희 신드롬’까지 일으켰던 경영 능력을 꼭 같은 방식은 아니더라도 이 부회장이 확실한 리더십을 보여 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재계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고가, 중가, 저가 등 모든 영역에서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한국 GDP의 26.6%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는 삼성그룹의 총수가 되려면 경영 능력을 인정받고 사회적으로 승계를 공인받는 게 필수”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8-2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