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기름유출 관련 유분, 여수사고 때와 비슷”

“세월호 기름유출 관련 유분, 여수사고 때와 비슷”

입력 2014-06-04 00:00
수정 2014-06-04 1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수부 “해조류 양식장 이상 없어”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기름 유출에 따른 바닷물의 기름기(유분)가 지난 1월 여수 우이산호 기름유출 사고 때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고 4일 밝혔다.

해수부는 4월 19일∼5월 16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통해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부근 해상에서 1차 긴급영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바닷물의 유분이 최고 14.0ppb(10억분율), 평균 2.95ppb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우이산호 충돌사고 때 바닷물 기름기는 최고 16.3ppb, 평균 5.3ppb이었다.

해수부는 “바닷물 속의 유분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시료 42점 중 1점을 제외하고는 해역 관리기준인 10 ppb 미만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본의 수산용수기준 권고기준치에서는 수중에 유분이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바지락 등 이매패류 내의 PAHs(화석연료에 포함된 벤조피렌 등 인체유해물질)의 농도는 721∼1천129ppb, 평균 926ppb로, 식약처 조개류 섭취기준의 1/60 수준인 만큼 먹어도 안전하다고 밝혔다.

PAHs 농도는 세월호 사고 후 약 4.1배 증가한 반면 우이산호 사고 때는 약 34배가 증가했다고 해수부는 말했다.

해수부는 국립수산과학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통해 긴급 해양오염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양식장의 안전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의 미역, 톳 등 해조류 양식장 조사결과 PAHs는 최고 13.9ppb이었고, 벤조피렌은 한 곳에서 0.14ppb가 검출됐다. PAHs는 국내 기준치가 없고, 벤조피렌의 경우 해조류 기준은 없으나 어류 2ppb, 갑각류 5ppb다.

손재학 해수부 장관은 “침몰선박에 의한 양식장 피해를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예찰과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라면서 “이번 사고로 남해안 김과 톳의 소비가 위축되지 않도록 국민께서 안심하고 이용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