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1년(하)] 글로벌 경기 전망
침체된 세계 경제의 회복 시기에 대해 기업들은 올 하반기나 내년 이후로 전망했다. 정부나 한국은행의 전망과는 조금 달랐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선진국의 경기 회복에 힘입어 완만하게 회복세를 이어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24일 서울신문이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바에 따르면 세계 경제가 올 상반기에 회복될 것이라고 보는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올 하반기 40.0%(12곳), 내년 이후 59.9%(18곳)로 나타났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의 올해 경기 회복세는 생각보다 크지 않고 중국 등 신흥국 시장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8% 정도로 지난해(1.9%)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중국(7.7→7.5%), 브라질(2.3→2.3%) 등 신흥국의 성장률 침체 및 정체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대기업들은 올 세계 경제 여건에 대해서도 기대와 우려가 뒤섞인 반응을 보였다. ‘지난해보다 나아졌다’(43.3%·13곳)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비슷하다’(40.0%·12곳)거나 ‘나빠졌다’(16.7%·5곳)는 응답 비중도 컸다.
또 미국의 돈줄 죄기 정책인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의 영향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다’(26.7%·8곳), ‘도움이 된다’(6.7%·2곳)는 응답보다는 ‘악영향을 준다’(66.7%·20곳)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부의 이른바 ‘상·하방 요인 균형론’과는 전혀 다른 전망을 한 것이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기업들도 수출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지난해 미국의 경기는 조금 살아났지만 우리나라는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는 탈동조화 현상이 나타난 것도 이 때문”이라면서 “대기업들이 선진국 경제가 살아나더라도 우리 무역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등 신흥국 시장이 살아나지 않으면 우리 경제도 계속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2-2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