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쇼크’ 전문가 30인 긴급 설문
6일 서울신문이 경제 전문가 30명에게 엔저 심화에 따른 수출기업의 영향에 대한 긴급 설문을 진행한 결과 ‘기업의 체질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2명 중복응답)이 37.5%(12명)로 가장 많았다. 수출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대답이 21.9%(7명)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한국은행의 금리 조정(18.8%·6명), 기타(18.8%·6명), 수출 대기업 지원(1명·3.1%) 순이었다. 특히, 정부 개입으로 환율 조정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정부의 자금 지원 등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중소기업뿐 아니라 수출 대기업에 피해를 주는 원·엔 환율 수준은 ‘100엔당 950원 선 붕괴’가 36.7%(11명)로 가장 많았다. ‘1000원 선 붕괴’가 30%(9명)였고, ‘1050원 선 붕괴’ 10%(3명), ‘900원 선 붕괴’ 3.3%(1명) 등이었다. 모르겠다고 답한 이는 20%(6명)였다.
하지만 가장 많은 전문가들이 응답한 ‘수출 대기업에 피해를 주는 기준선’(100엔당 950원) 밑으로 환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 이들은 13.3%(4명)에 불과했다. 56.7%(17명)는 올해 원·엔 환율이 950~1000원 사이일 것으로 내다봤다. 1000~1050원은 23.3%(7명), 모른다는 응답은 6.7%(2명)였다. 대부분이 엔저 쇼크가 수출 대기업에 심각하게 피해를 줄 정도로 심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엔저 심화로 인해 대기업의 피해가 ‘아주 크다’고 답한 이들은 10%(3명)로 ‘그저 그렇다’고 응답한 26.7%(8명)보다 훨씬 적었다. ‘크다’는 응답이 53.3%(16명)로 가장 많았고, 피해가 약할 것이라고 답한 이도 10%(3명)였다.
그간 엔저 현상은 수출 대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 등 부정적 효과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대일(對日) 무역 적자 해소, 일본산 원자재 단가 하락 등의 긍정적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부정적 효과가 약간 크다’는 응답이 50%(15명)로 ‘부정적 효과가 훨씬 크다’는 대답(30%·9명)보다 훨씬 많았다. 부정적 효과와 긍정적 효과가 비슷하다는 응답은 16.7%(5명)였다.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이도 3.3%(1명) 있었다. 대기업들의 주장대로 극심한 피해는 아니라는 의미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4-01-0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