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국내 첫 도입 ‘스마트폰 혁명’ LTE 지각 상용화… 낙하산 논란도

아이폰 국내 첫 도입 ‘스마트폰 혁명’ LTE 지각 상용화… 낙하산 논란도

입력 2013-11-05 00:00
업데이트 2013-11-05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 11개월만에 막내린 KT 이석채號 공과와 과제

지난 3일 이석채 KT 회장이 사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KT ‘이석채호(號)’의 항해는 4년 11개월 만에 돛을 내렸다. 일단 이 회장은 신임 최고경영자(CEO)가 정해질 때까지는 과제를 마무리한다는 입장이지만 리더십을 상실한 상황에 눈에 띄는 경영활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스스로 언급한 ‘임원 구조조정’이 마지막 과업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석채 KT 전 회장
이석채 KT 전 회장
4일 통신업계에서는 재임 기간 이 회장의 공적 중 ‘혁신 경영’을 높이 평가했다. 이 회장은 2009년 취임 직후 유선에서 브로드밴드(초고속 인터넷)로의 변신을 강조하며 KT-KTF의 합병을 단행, KT를 정보기술(IT)기업으로 변신시켰다. 그해 11월에는 국내에 처음 아이폰을 도입해 ‘스마트폰 혁명’을 불러왔다. 이 효과로 KT의 2010년 매출은 전년 대비 6.7% 성장한 20조 3391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배가 넘는 2조 507억원을 기록했다. 2000년 이후 처음으로 영업이익에서 SK텔레콤을 앞선 순간이었다. 이어 ‘탈(脫)통신’을 강조하며 금호렌터카, BC카드 등 기존 사업과 무관한 기업을 인수해 수익구조의 다변화시켰다. 또 내수 중심인 통신산업의 한계를 넘기 위해 해외 진출을 타진해 사퇴 직전에는 르완다에 이어 케냐에서도 롱텀에볼루션(LTE) 사업 진출에 합의했다.

반면 아이폰 효과가 끝난 뒤에는 뒤늦은 LTE 상용화 등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게다가 ‘낙하산’과 ‘사유화’ 논란도 끊임없이 그를 따라다녔다. 청와대 출신 외부 인사 영입, 5000명이 넘는 구조조정, 임원 연봉 인상 등이 잇따라 도마에 올랐다.

이 회장의 남은 과제도 결국 이런 ‘오점’과 직결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회장은 사의 표명 이메일에서 “임원 수를 20% 줄이고 그간 문제가 제기된 고문과 자문위원제도도 올해 안에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KT 임원은 130여명으로 이 중 외부 영입 인사가 30여명에 이른다. 때문에 KT 내부에서도 이 회장이 언급한 ‘임원 20%’를 ‘낙하산 인사’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고 있다.

한 KT 관계자는 “어쨌든 구조조정이 언급돼 임직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면서도 “새 틀을 위한 임원 인사라면 후임 CEO가 할 일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11-05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