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교통공학과를 나와 엔지니어링 회사에 들어간 김성균(38)씨는 10년 된 직장을 그만두고 가족과 함께 귀농을 결심했다.
”회사에서 뚜렷한 비전도 보이지 않아 부모님이 계시는 경남 함양군으로 내려갔다”는 김씨는 “막상 내려와 보니 귀농은 냉정한 현실이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고 말했다.
가장 절실한 게 돈이었다. 농촌도 도시와 다를 게 없었다.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곳이다. 귀농 자금을 얻으려고 알아보니 ‘귀농인(歸農人)’ 자격이 돼야 돈을 빌릴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왔다고 무조건 귀농인이 되는 게 아니라는 것을 귀농하고 나서야 알았다. 현재 정부가 인정하는 귀농인은 1년 전 주소가 동(洞)지역이고, 현주소가 읍·면(邑·面)지역이면서 농지 원부 등에 농업인으로 등록돼야 한다.
할 수 없이 회사에 다니면서 모은 돈으로 다른 사람의 논을 빌려 1년 동안 부쳤다. 100시간의 귀농 교육도 마쳐야 했다. 그제야 정부가 농협은행을 통해 연 3%의 저금리로 2억원까지 빌려주는 귀농 자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귀농인이 갈수록 늘고 있다. 도시에서의 회사 생활에 염증을 느껴서,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살려고, 또는 건강상 이유 등으로 귀농과 귀촌이 주목을 받고 있어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김춘진 의원(민주당)이 공개한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03년 885가구에 불과하던 귀농인 가구는 2011년 1만503가구, 지난해 1만1천220가구로 급증했다.
지난해 귀농 지역으로 인기를 끈 곳은 전북 고창군(173가구), 경북 상주시(157가구), 강원 홍천군(154가구), 경기 양평군(154가구), 경남 밀양시(149가구) 순이다.
그러나 이들 귀농 가구가 전원생활에 모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것은 아니다. ‘귀거래사(歸去來辭·중국 송대 시인 도연명이 귀농의 즐거움을 담아 지은 시)’에 나오듯 낭만으로만 가득찬 생활은 아닌 셈이다.
김씨는 “막연히 ‘농사나 짓고 살지’라는 마음으로 오는 분들이 있는데, 대부분 실패했다고 보면 된다”며 “특히 재정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고 오면 100% 실패한다. 귀농도 나름의 사업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농협은행이 김씨를 상대로 마련해 준 시설 고추농장 운영 계획을 보면 3년 동안 온실 제작에 9천500만원, 환풍기·건조기 등 장비 구입에 100만원 등 1억원 가까운 돈이 필요한 것으로 계산됐다.
고추를 팔아 들어오는 돈과 생활비·경비·원리금 등으로 나가는 돈을 따진 현금흐름은 4년간 적자, 5년째부터 흑자로 돌아설 수 있다. 그나마 고추값이 안정적일 때 얘기다.
김씨를 상담한 농협은행 직원은 “김씨는 애초 ‘체험 농장’을 운영하고 싶어했으나, 마을에서 차로 40분이나 떨어진 데다 주변에 편의시설도 없어 보류하도록 권했다”며 “면밀한 재무계획이나 수요분석 없이 귀농에 뛰어들면 백전백패”라고 말했다.
실제로 경기 여주군에서 화훼농장을 운영하려고 귀농한 A씨의 경우 주력인 분화식물의 가격 폭락에 유류비·인건비 상승이 겹쳐 지난해 2천만원의 적자를 내고 농협은행에 금융상담을 신청했다.
정부가 농협은행을 통해 저리로 공급하는 귀농 자금은 지난해 1천21가구에 651억원, 올해 1~9월 841가구에 542억원으로 급증했지만, 이 자금을 받으려면 김씨처럼 일정한 자격을 갖춰야 한다는 점도 알아둬야 한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귀농을 결심하기 전에 투자계획, 자금 조달계획, 대출금 상환계획은 물론 재배규모, 판매방식, 손익분기 시점 등을 꼼꼼히 알아보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회사에서 뚜렷한 비전도 보이지 않아 부모님이 계시는 경남 함양군으로 내려갔다”는 김씨는 “막상 내려와 보니 귀농은 냉정한 현실이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고 말했다.
가장 절실한 게 돈이었다. 농촌도 도시와 다를 게 없었다.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곳이다. 귀농 자금을 얻으려고 알아보니 ‘귀농인(歸農人)’ 자격이 돼야 돈을 빌릴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왔다고 무조건 귀농인이 되는 게 아니라는 것을 귀농하고 나서야 알았다. 현재 정부가 인정하는 귀농인은 1년 전 주소가 동(洞)지역이고, 현주소가 읍·면(邑·面)지역이면서 농지 원부 등에 농업인으로 등록돼야 한다.
할 수 없이 회사에 다니면서 모은 돈으로 다른 사람의 논을 빌려 1년 동안 부쳤다. 100시간의 귀농 교육도 마쳐야 했다. 그제야 정부가 농협은행을 통해 연 3%의 저금리로 2억원까지 빌려주는 귀농 자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귀농인이 갈수록 늘고 있다. 도시에서의 회사 생활에 염증을 느껴서,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살려고, 또는 건강상 이유 등으로 귀농과 귀촌이 주목을 받고 있어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김춘진 의원(민주당)이 공개한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03년 885가구에 불과하던 귀농인 가구는 2011년 1만503가구, 지난해 1만1천220가구로 급증했다.
지난해 귀농 지역으로 인기를 끈 곳은 전북 고창군(173가구), 경북 상주시(157가구), 강원 홍천군(154가구), 경기 양평군(154가구), 경남 밀양시(149가구) 순이다.
그러나 이들 귀농 가구가 전원생활에 모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것은 아니다. ‘귀거래사(歸去來辭·중국 송대 시인 도연명이 귀농의 즐거움을 담아 지은 시)’에 나오듯 낭만으로만 가득찬 생활은 아닌 셈이다.
김씨는 “막연히 ‘농사나 짓고 살지’라는 마음으로 오는 분들이 있는데, 대부분 실패했다고 보면 된다”며 “특히 재정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고 오면 100% 실패한다. 귀농도 나름의 사업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농협은행이 김씨를 상대로 마련해 준 시설 고추농장 운영 계획을 보면 3년 동안 온실 제작에 9천500만원, 환풍기·건조기 등 장비 구입에 100만원 등 1억원 가까운 돈이 필요한 것으로 계산됐다.
고추를 팔아 들어오는 돈과 생활비·경비·원리금 등으로 나가는 돈을 따진 현금흐름은 4년간 적자, 5년째부터 흑자로 돌아설 수 있다. 그나마 고추값이 안정적일 때 얘기다.
김씨를 상담한 농협은행 직원은 “김씨는 애초 ‘체험 농장’을 운영하고 싶어했으나, 마을에서 차로 40분이나 떨어진 데다 주변에 편의시설도 없어 보류하도록 권했다”며 “면밀한 재무계획이나 수요분석 없이 귀농에 뛰어들면 백전백패”라고 말했다.
실제로 경기 여주군에서 화훼농장을 운영하려고 귀농한 A씨의 경우 주력인 분화식물의 가격 폭락에 유류비·인건비 상승이 겹쳐 지난해 2천만원의 적자를 내고 농협은행에 금융상담을 신청했다.
정부가 농협은행을 통해 저리로 공급하는 귀농 자금은 지난해 1천21가구에 651억원, 올해 1~9월 841가구에 542억원으로 급증했지만, 이 자금을 받으려면 김씨처럼 일정한 자격을 갖춰야 한다는 점도 알아둬야 한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귀농을 결심하기 전에 투자계획, 자금 조달계획, 대출금 상환계획은 물론 재배규모, 판매방식, 손익분기 시점 등을 꼼꼼히 알아보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