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양 회장 사업다각화 가속
포스코가 신재생에너지 등 복합발전사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020년까지 중국의 한 해 태양광 발전용량에 해당하는 13기가와트(GW) 규모의 설비용량을 구축하기로 했다. 철강 수요가 한계에 도달한 데다가 정준양 회장이 추진한 사업다각화가 효과를 내면서 올해부터 이를 더욱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포스코가 인천에서 운영하고 있는 3000㎿급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의 모습.
포스코 제공
포스코 제공
1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올해 제주에 30메가와트(㎿)급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부산에는 생활쓰레기를 활용한 자원순환형 페기물가공연료(RDF) 발전소도 건설할 예정이다. 또 2020년까지 전남 신안에 35㎿급 태양광발전단지도 조성한다.
포스코는 인천에 3000㎿급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와 광양에 300㎿급 부생가스(제강과정 등에서 나오는 가스) 복합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지난 2년 동안 미국의 태양광(300㎿), 베트남 석탄(1200㎿), 몽골 열병합(450㎿), 인도네시아의 부생가스(200㎿)와 석탄(600㎿) 등 5곳에서 발전 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냈다.
발전사업은 발전소 건설 및 운영뿐만 아니라 에너지플랜트용 강재와 엔지니어링 수요도 창출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제너럴일렉트릭(GE)과 에너지 강재 공급 등에 관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이어 지멘스와도 해상풍력 분야의 강재 및 신소재 공급 협력을, 셸과는 해양구조용 후판의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는 태양광, 육·해상풍력, RDF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과 함께 연료전지 제조사업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포스코는 미국 퓨얼셀에너지 등의 도움을 받아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2015년 포항 연료전지단지에 2만 826㎡ 규모의 공장을 준공, 연간 70㎿의 셀을 생산할 계획이다. 포항의 100㎿급 연료전지 공장에서는 발전용(2.8㎿, 1.4㎿)과 건물용(300㎾, 100㎾)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아울러 2월 중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300㎾급 연료전지발전소를 완공하고, 연료전지의 첫 해외진출을 실현한다. 이는 동남아와 중동 시장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2010년 10월 포스코 계열사로 편입된 대우인터내셔널은 실적 개선과 함께 자원 개발 등에 대한 시너지 효과로 포스코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철강·소재·에너지를 3대 핵심사업으로 삼고, 2020년 매출 200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1-14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