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물가 전년 동월比 1.3%, 생활물가 0.6%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으로 1%대를 기록했다. 상승률로는 12년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3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8월 물가는 1년 전보다 1.2% 올랐다.
이는 2000년 5월 1.1%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전달인 7월 1.5%를 기록한 데 이어 또 1%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8월 물가는 전월비로는 0.4% 올랐다. 6월 -0.1%, 7월 -0.2%였다가 3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올해 들어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로 3~6월 2%대로 떨어지고서 최근 2개월엔 1%대를 유지하고 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3% 오르고, 전달과 비교해서는 0.2%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ㆍ에너지제외지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2%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6%, 전달보다는 0.7%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농산물과 석유제품의 가격 상승에도 공업제품과 서비스 가격이 안정세를 보여 물가가 1%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지난해 8월 물가상승률이 전월비로 0.7%, 전년 동월비로는 4.7%나 올라 이번 8월 물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오른 것처럼 보이는 기저효과가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2.9% 내렸지만 전월보다는 4.6% 급등했다.
폭염 여파로 신선채소는 전월보다 8.0% 급등했고 신선과실은 5.7% 상승했다. 신선어개는 0.8% 하락에 그쳤으며 기타신선식품은 2.0% 내렸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전월과 비교해 식료품ㆍ비주류음료와 교통이 각각 1.1%, 1.0% 올랐다. 기타상품ㆍ서비스부문(0.7%)과 주류ㆍ담배(0.5%), 주택ㆍ수도ㆍ전기ㆍ연료(0.4%), 교육(0.4%) 등도 상승했다.
품목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월보다 1.8% 올랐고 지난해 8월에 급등했던 기저효과가 반영되면서 전년동월비로는 1.7% 하락했다.
주요 품목의 전월비 등락을 보면 시금치(64.2%), 양상추(90.0%), 수박(55.4%), 오이(33.8%) 등이 급등했고 돼지고기(-5.9%), 복숭아(-6.3%) 등은 내렸다.
지난해 8월과 비교하면 고춧가루(52.8%), 쌀(7.9%), 파(49.4%), 양파(24.2%) 등이 올랐고 배추(-28.9%), 호박(-54.6%), 달걀(-15.3%) 등은 떨어졌다.
공업제품은 전월보다 0.5% 상승에 그쳤지만 휘발유(3.1%)와 경유(2.8%) 등은 오름폭이 컸다.
서비스는 전월대비로 0.2% 올랐으며 전세(0.3%)와 월세(0.1%), 시내버스료(0.5%), 학원비(고등학생 2.4%), 미용료(1.0%) 등의 품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지역난방비(19.4%), 도시가스(9.8%), 전기료(2.1%), 시내버스료(10.3%), 전철료(13.2%) 등 공공요금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16개 광역시별로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서울, 전남, 제주는 0.6~0.8% 상승했고 부산, 대구 등 10개 시도는 0.4~0.5% 올랐다.
기재부는 9월 이후 물가는 우려했다.
이번 물가통계 조사가 태풍 ‘볼라벤’과 ‘덴빈’이 우리나라에 상륙하기 이전에 끝나 태풍이 농수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9월 이후 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국제 곡물가격 상승은 4~7개월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과 사료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최근 곡물가격 급등세가 향후 물가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농식품 분야 관계기관 인력 7천400여명을 동원해 낙과 수거, 벼 세우기, 시설 복구 등을 지원하고 있다.
범국민적인 낙과 팔아주기 운동을 전개하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낙과는 전량 수매해 가공용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9월 말 추석에 대비해 성수품 15개 품목을 추석 전 2주간 집중하여 공급하고, 직거래 장터와 특판장 등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킬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