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모바일 백신 사용 22%…보안의식 낮다”

안랩 “모바일 백신 사용 22%…보안의식 낮다”

입력 2012-06-29 00:00
업데이트 2012-06-29 14: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짜 앵그리버드 애플리케이션(앱) 등 악성 앱으로 인한 모바일 보안 위협이 커지는 가운데 정작 모바일 백신 사용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랩은 지난달 22일부터 16일간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보안지수에 관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대비하기 위해 백신프로그램을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22%로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인터넷이나 PC 사용 시 백신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응답자가 87%인 것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기기 보안을 위해 응답자가 취하는 조치는 ‘초기화면 패스워드 설정을 한다’(34.5%)가 가장 많았고 ‘공인된 애플리케이션 사용’(27.5%)과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악성코드 방지’(24%)가 그 뒤를 이었다.

또 모바일 기기 사용자 중 23%가 ‘내가 피해자가 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모바일 보안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에 애플의 운영체제인 iOS를 사용하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이용자도 포함돼 모바일 백신 사용 비율이 낮게 나타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애플은 모든 앱을 심사한 뒤 앱스토어에 등록하는 폐쇄적인 운영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애플은 이에 따라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iOS를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에 악성코드가 유입될 가능성이 작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