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브랜드 사라져도 도전정신 그대로”

“대우브랜드 사라져도 도전정신 그대로”

입력 2012-03-23 00:00
수정 2012-03-23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우그룹 창립 45주년… 김우중 前 회장 등 대우맨 총출동

“대우꿈동산에서 자랄 수 있었던 것은 큰 축복이자 꿈 같은 일이었습니다. 저희가 건강하고 씩씩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주신 김우중 회장과 대우 가족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옛 대우그룹 창립 45주년 행사가 열린 22일 늦은 오후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 행사 도중 충북 청주 ‘대우꿈동산’에서 성장한 뒤 이제는 꿈동산에서 사회복지사로 일하는 윤모씨가 벅찬 목소리로 김우중(76) 전 대우그룹 회장에게 쓴 편지를 낭독했다.

이미지 확대
22일 서울 종로구 A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옛 대우그룹 창립 45주년 행사에서 김우중(가운데) 전 회장이 임직원들의 부축을 받으며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22일 서울 종로구 A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옛 대우그룹 창립 45주년 행사에서 김우중(가운데) 전 회장이 임직원들의 부축을 받으며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우는 왜?’ 에세이집 출판기념회도

대우꿈동산은 김 전 회장이 1989년 펴낸 저서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다’의 수익금으로 1992년 설립된 뒤 대우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는 소년소녀가정 자립 입주단지다.

이어 윤씨와 대우꿈동산 출신 청년들은 함께 접은 1004마리의 종이학과 입주 청소년들의 사진이 담긴 액자를 선물했다. 김 전 회장은 미소 띤 얼굴로 “훌륭하게 자라줘서 고맙다.”면서 손주뻘 되는 이들의 손등을 어루만졌다. 순간 장내는 대다수가 반백의 머리로 변한 400여 ‘대우맨’의 박수 소리로 가득 찼다.

전직 대우그룹 임직원들이 설립한 대우세계경영연구회와 대우인회 주최로 열린 대우그룹 창립 45주년 행사는 쟁쟁한 옛 대우그룹 최고경영자(CEO)들이 총출동했다. 이경훈 전 대우 회장, 김용원 전 대우전자 회장, 윤원석 대우학원 이사장, 윤영석 전 그룹총괄 회장, 장병주 전 대우 사장 등이 참석했다. 행사를 위해 이날 오전 베트남에서 귀국한 김 전 회장도 비교적 건강한 모습으로 자리를 함께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대우세계경영연구회 주도로 옛 대우 임직원들의 세계 경영 활동상이 담긴 에세이집 ‘대우는 왜?’ 출판기념회도 함께 열렸다.

33명의 옛 대우그룹 CEO들과 임원들이 직접 집필에 참여한 이 책에는 1967년 대우실업 설립 당시부터 그룹 해체 때까지 대우가 만들어 낸 각종 기록과 해외시장 개척에 얽힌 비화들이 담겼다. 김 전 회장의 세계경영과 도전정신 등에 대한 재평가도 실렸다.

대우 해체와 관련된 내용도 들어갔다. 집필자들은 “대우가 시장의 신뢰를 잃은 것은 정부의 인위적 개입 때문”이라면서 “대우 해체의 책임은 실패한 정책을 입안한 사람과 그런 잘못된 정책을 집행한 사람들에게도 있다.”고 주장했다.

과거 대우 해체를 주도했던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최근 “대우가 구조조정에 소극적이어서 시장의 신뢰를 잃었다.”고 주장한 데 대해 반박한 셈이다.

장병주 전 사장은 “한국 경제의 죄인으로 매도당하고 있는 대우의 공과를 제대로 평가받고, 청년들에게 귀감을 주기 위해 책을 펴내게 됐다.”고 말했다.

●대우 계열사 여전히 우리경제 주축

한때 재계 2위에까지 올랐던 옛 대우그룹 계열사 중 ‘대우’라는 명칭을 고수하고 있는 기업은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KDB대우증권, 대우인터내셔널, 대우일렉트로닉스 등에 불과하다.

옛 대우자동차는 지난해 3월 한국지엠으로, 대우엔지니어링은 지난해 10월 포스코엔지니어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채권단이 대주주인 대우건설과 대우조선해양 등은 새 주인을 찾게 되면 사명이 언제 바뀔지 모른다.

그러나 옛 대우그룹 계열사들은 아직도 우리나라 재계의 중심 기업으로 남아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동유럽 등에서는 대우의 명성이 여전한 데다 각 기업체로 흡수된 대우맨들은 옛 대우 특유의 도전정신을 무기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옛 대우그룹 계열사 관계자는 “그룹 해체와 주인이 바뀌는 아픔을 겪었지만 대우 출신이라는 자부심은 여전하다.”고 귀띔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3-2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