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O코리아, 사회적 기업 모범사례로”

“MRO코리아, 사회적 기업 모범사례로”

입력 2012-02-27 00:00
수정 2012-02-27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태원 SK그룹 회장 주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다음 달 사회적 기업 전환을 앞두고 있는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계열사인 MRO코리아가 사회적 기업의 세계적인 모범 사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이 지난 24일 MRO코리아 서울 신대방동 본사를 방문해 생산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이 지난 24일 MRO코리아 서울 신대방동 본사를 방문해 생산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SK그룹 제공
26일 SK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24일 MRO코리아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본사를 방문해 강대성 MRO코리아 사장, 남상곤 사회공헌 사무국장 등에게 이같이 주문했다.

최 회장은 지난해 8월 대기업의 MRO 사업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거스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MRO코리아를 사회적 기업으로 바꿀 것을 지시했다. SK는 기존 MRO코리아의 합작 파트너였던 미국 그레인저 인터내셔널의 지분 49%를 모두 사들인 데 이어 소외계층 인력 10명을 채용하는 등 다음 달에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을 완료할 예정이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SK그룹이 MRO 사업을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기업 차원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앞서 대응하기 위해서 내린 결단이었다.”면서 “이제 최대 규모의 사회적 기업이 탄생하는 것이니만큼 사회적 기업 확산의 밀알이 돼 달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 “사회적 기업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영속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업가적 문화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2-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