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잇따르면서 정부 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전 세계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고환율은 수출에 호재가 되기보다는 물가에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물가 잡기에 나서야 하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내년도 아시아 지역의 물가는 올해보다 안정될 것이라면서도 한국, 인도, 베트남은 예외라고 지적했다. 환율만 보더라도 물가 전망은 부정적이다. 세계 경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원화 약세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환율이 올라가면 수입 물가가 올라가고 물가 압력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는 물가가 내년에는 올해보다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는 우리 정부의 예상과는 다르다. 당장 올해만 보더라도 정부는 목표치 4%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이대로라면 하반기에도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환율 상승은 수출에 도움이 되긴 하겠지만 세계경제가 하방하는 상황에서 수출할 곳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결국 궁극적으로는 수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환율상승의 ‘덕’을 보기보다는 물가로 인한 ‘고통’이 더 커진다.
그래서 물가와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보다는 물가 잡기에 나서야 한다는 게 경제 원로들의 지적이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이는 물가가 내년에는 올해보다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는 우리 정부의 예상과는 다르다. 당장 올해만 보더라도 정부는 목표치 4%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이대로라면 하반기에도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환율 상승은 수출에 도움이 되긴 하겠지만 세계경제가 하방하는 상황에서 수출할 곳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결국 궁극적으로는 수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환율상승의 ‘덕’을 보기보다는 물가로 인한 ‘고통’이 더 커진다.
그래서 물가와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보다는 물가 잡기에 나서야 한다는 게 경제 원로들의 지적이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9-23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