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저-안전성·연비, 알페온-실내공간 으뜸
현대자동차의 그랜저가 6년 만에 확 바뀐 모습을 선보이면서 국산 준대형차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신차 구매자들은 어느 차를 고를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대표적 준대형 세단인 현대차 그랜저, 기아차 K7, GM대우의 알페온, 르노삼성의 SM7을 비교 분석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7/SSI_2011011700535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7/SSI_20110117005357.jpg)
준대형차의 선호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이 안전성이다.
이 준대형 차종들은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엔진 토크 및 브레이크를 능동적으로 제어해 주는 자체자세제어장치(VDC)와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등 첨단 안전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이 중에 최고 점수는 그랜저에 줄 수 있다. 국내 준대형 최초로 운전석 무릎 에어백을 포함한 9개의 에어백이 기본으로 장착됐기 때문이다.
대형차의 느낌과 넉넉한 실내공간을 윈하는 구매자들에게는 단연 알페온이 인기다. 알페온은 길이 4995㎜, 너비 1860㎜, 높이 1510㎜로 준대형 차로는 비교적 큰 체구다. 그 뒤를 K7, SM7이 이었다.
그랜저는 ‘왠지 작아 보인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경쟁모델인 K7(4965㎜)에 비해 신형 그랜저는 4910㎜로 전장이 55㎜ 짧기 때문이다. 알페온(4995㎜)보다는 85㎜나 짧다. 오히려 쏘나타(4820㎜)에 더 가까운 느낌이다.
디자인에선 그랜저가 단연 돋보인다. 그랜저는 웅장한 비행체가 활공(滑空)하는 듯한 강하고 세련된 차체라인이 인상적이다. 또 실내도 역동적이며 강인한 인상을 주는 Y자형 크러시 패드, 하이테크적이면서도 넥타이 이미지의 고급스러운 느낌이 물씬 풍긴다.
●SM7 성능 뒤지지만 잔고장 적어
성능과 연비에서는 신차인 그랜저가 동급 차종에 최고로 손꼽힌다. 신형 그랜저는 3.0ℓ와 2.4ℓ로 나뉜다. 3.0ℓ에는 람다Ⅱ 3.0 GDI 엔진을 얹었다. 배기량 2990㏄에 최고 출력 270마력, 최대 토크 31.6㎏·m를 낸다. 6단 자동변속기를 얹어 연비는 11.6㎞/ℓ다. 2.4ℓ 모델은 세타Ⅱ 2.4 GDI를 적용했다. 배기량 2359㏄, 최고출력 201마력, 최대토크 25.5㎏·m를 낸다. 연비는 12.8㎞/ℓ로 웬만한 중형세단 못지않다.
다음으로 K7과 알페온은 막상막하. 성능에선 알페온이 간발의 차로 앞선다. V6 SIDI3.0 엔진이 탑재된 3.0ℓ 알페온은 최고 출력이 263마력, 최대 토크는 29.6㎏·m다. 2.4ℓ에는 185마력과 24.0㎏·m의 최대 토크를 발휘한다. V6 뮤 2.7엔진을 올린 K7 2.7ℓ는 200마력, 최대 토크는 26.0㎏·m이며 세타Ⅱ 2.4 엔진을 장착한 2.4ℓ는 180마력, 최대 토크는 23.5㎏·m이다.
●K7 연비·가격 경쟁력 수위
연비는 K7이 좋다. K7 2.4ℓ 기준으로 11.8㎞/ℓ로 알페온보다 1.2㎞ 이상 더 탈 수 있다.
반면 8년째 파워트레인(동력을 전달하는 일련의 기구)을 이어오고 있는 SM7은 성능과 연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8년째 단점을 보완한 덕분에 잔고장 등이 가장 적은 차로 인기를 끌고 있다.
가격은 그랜저가 3122만~3901만원, K7 2895만~4135만원, 알페온 3040만~4087만원, SM7 2880만~3770만원이다. 이달 SM7은 유류비로 100만원을, K7은 50만원을 할인해 주고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1-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