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획기적 대책’ 고민

대기업 ‘획기적 대책’ 고민

입력 2010-07-30 00:00
수정 2010-07-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명박 대통령을 위시한 정부 고위 인사들이 최근 잇따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강조하는 발언을 쏟아 내놓자 주요 대기업들은 당혹감 속에서도 발 빠르게 여론을 청취하며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그동안 나름대로 투자와 고용을 확대하고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에도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최근 분위기가 마치 사상 최대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수출 대기업들이 양극화의 주범인 양 매도되는 데에 당혹해하면서도 추가 대책 마련에 골몰하는 분위기다.

 재계의 대표격인 삼성그룹은 계열사별로 투자와 고용,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등 각 부문에서 개선하고 강화할 점이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삼성은 투자와 고용은 시장과 경영상황 등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상생협력의 과실이 2,3차 협력업체에까지 잘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등 당장 성과를 낼 수 있는 협력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관계자는 “올해 삼성전자가 예년보다 훨씬 많은 26조원을 투자하기로 하는 등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왔지만 개선하고 강화할 부분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재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은 다양한 채널을 가동해 민심과 여론의 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근본적으로 양극화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기아차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발전할 수 있는 상생전략을 만들라”고 이 대통령이 주문한 이튿날 협력사와 함께 상생협력에 초점을 맞춘 세미나를 열어 협력사의 경쟁력을 키우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현대기아차 측은 종전에도 수차례에 걸쳐 이런 세미나를 열어왔고,이날도 예정돼 있던 행사라고 했지만 공교롭게도 이 대통령의 지적이 있은 직후 이 행사가 열려 정부 방침에 발 빠르게 대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평소 1차 협력사로 한정했던 참석 대상을 2차 협력사로까지 확대해 1,2차 협력사 간 상생협의체를 구성한 것은 이 대통령의 의중을 꿰뚫은 것이란 평가다.

 이 대통령은 지난 27일 국무회의에서 “2차,3차 벤더(협력사)로 가면 상생 관계가 덜하기 때문에 거기까지 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LG그룹은 이번 주 중 주요 계열사 담당자들이 모여 협력업체들과의 상생협력 추진현황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할 계획이다.

 이 회동에서는 현재 계열사별로 진행 중인 상생협력 방안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하는 한편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LG그룹은 올해 사상 최대 규모인 15조원을 투자하고,연초 계획보다 50% 많은 1만5천명을 채용하기로 하는 등 서민경제를 살리려는 정부 정책에 호응하고 있다고 자평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재정상태가 어려운 납품업체에 납품 대금을 선지급하거나 대출 융자를 지원하는 등 그동안 해온 협력업체와의 상생 제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해 나가면서 추가로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강화할 방안이 있는지 검토 중이다.

 최근 고금리 논란으로 주목받은 롯데캐피탈은 금리 인하를 검토하는 등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에 대한 불만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회사를 발표해 파문을 일으켰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도 곧바로 “정부에 대한 불만표출이 아니다”고 서둘러 진화를 시도하면서 일자리 창출 방안 등 추가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이 사회양극화를 초래한 주범이라는 오해를 받는 것 같아 안타깝지만 각 기업은 정부가 주문하는 방향에 맞추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이반된 민심 달래기 등 다분히 정치적인 의도에서 대기업을 희생양으로 삼고 있는 것 아니냐는 볼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