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5.4%↑… “저금통·서랍 등에 사장 탓”
요즘 물건 살 때 카드나 지폐 대신 동전을 꺼내는 일이 얼마나 될까. 버스 타면서 교통카드나 1000원짜리 종이돈 말고 100원·10원짜리 동전으로 차비를 내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 공중전화를 쓰기 위해 짤랑짤랑 주머니 속 동전을 세어본 것이 과연 언제적 일인가.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현재 주화 발행량은 1조 8389억원으로 1년 전(지난해 2월)의 1조 7447억원에 비해 5.4% 증가했다. 500원짜리의 발행량이 총 9116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73억원(6.7%) 늘어난 것을 비롯해 100원짜리는 7646억원으로 325억원(4.4%), 50원짜리는 936억원으로 26억원(2.8%) 각각 증가했다. 10원짜리도 675억원으로 18억원(2.8%)이 더 발행됐다. 5원짜리와 1원짜리 동전은 합계 총 16억 3600만원으로 전년보다 100만원어치가 줄어들었다.
종류별 개수는 100원짜리가 76억 4600만개로 가장 많고 10원짜리 67억 5100만개, 50원짜리 18억 7100만개, 500원짜리 18억 2300만개 순이다.
주화나 지폐 등 현금을 주고받는 거래의 증감률에 대한 통계치는 없다. 단, 온라인이나 대형점포 쇼핑이 보편화하면서 신용카드 등 전자결제가 급증하고 교통·통신 등 생활 스타일이 바뀌면서 동전의 유통이 크게 줄었을 것으로 한은은 추정할 뿐이다.
그런데도 동전 발행량이 꾸준히 늘어나는 것은 막대한 수량의 동전들이 저금통, 금고, 책상서랍 등에 사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10원이나 100원으로 할 수 있는 일이나 살 수 있는 물건이 거의 없다 보니 사람들이 공연히 갖고 다니기만 귀찮아 집이나 사무실에 두고 나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한은은 계속 동전을 찍어내고, 그렇게 발행된 새 동전은 몇 사람 손을 거치지도 못하고 다시 사장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10원, 100원짜리는 말할 것도 없고 500원짜리도 발행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저금통이나 장롱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 때문에 실제로는 수요량보다 발행된 주화가 훨씬 많은데도 큰 돈 들여 동전을 새로 찍어내는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서울 소공동 본점 등 지역본부별 화폐교환 창구에서 동전을 지폐로 바꿔주고 있다.
김태균기자 windsea@seoul.co.kr
2010-04-1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