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3시간 근무 근로자 100만 육박

하루 2~3시간 근무 근로자 100만 육박

입력 2010-02-24 00:00
업데이트 2010-02-2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취업자 수는 줄어든 반면 하루 평균 2~3시간만 근무하는 초단시간 근로자는 크게 늘어 100만명에 육박했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주당 1~17시간을 근무한 근로자 수는 지난해 96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주 5일로 나누면 길어야 하루 3시간 30분씩 일하는 꼴이다.

이러한 초단시간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취업자 2351만 6000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로 사상 처음 4%를 넘었다. 연간 초단시간 근로자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줄곧 상승세였다. 1997년 1.60%에서 이듬해 2.36%로 크게 확대된 뒤 2001년 2.9%, 2004년 3.3% 등이었다.

특히 지난해는 2008년(3.6%)보다 0.5%포인트 가까이 늘어나 외환위기 다음으로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들보다 근무시간이 길지만 주당 18~26시간(하루 평균 5시간 이하) 일한 근로자 수는 지난해 113만 1000명이었다. 1997년(55만 8000명)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반면 주당 54시간(하루 평균 10시간) 넘게 일하는 장시간 근로자는 674만 1000명으로 전체의 28.7%였다. 장시간 근로자 수는 2001년 909만명(42.1%) 이후 계속 줄어 2007년 700만명대, 2008년부터는 600만명대로 내려갔다.

정유훈 현대경제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단시간 근로자가 세대주라면 이들은 임금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워킹푸어’(근로빈곤층)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하루에 채 1시간도 일하지 않는 ‘사실상 실업자’도 상당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02-24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