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석유 매장량 얼마나

北 석유 매장량 얼마나

백문일 기자
입력 2007-08-16 00:00
수정 2007-08-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서한만일대 50억~430억배럴 매장 추정

북한 유전개발이 제2차 남북정상회담의 유력한 의제로 떠올랐다. 노무현 대통령이 15일 밝힌 ‘생산적 투자’와도 맥이 통한다. 북한내 자원 공동개발은 남북경협의 주요한 의제로 거론되기는 했지만 그중에서도 유전개발은 규모나 경제적 이득 면에서 중요성이 월등히 높다.

이미지 확대
북한에는 서해와 동해 여러 곳에 유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의 원유공업부 자료에 따르면 평안남도 남포의 앞바다인 서한만 일대에는 50억∼430억배럴의 원유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돼 있다.

사실이면 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인도네시아의 매장량 50억배럴과도 맞먹지만 전문가들은 과대 평가됐을 수도 있다고 본다. 또 평남 안주분지와 함남 원산 앞의 동한만 등에서도 유징과 가스징이 일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유전개발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서한만은 중국과 대륙붕으로 연결된 ‘접경 지역’으로 본격적인 시추에 나설 경우 외교분쟁으로 번질 수 있다. 동중국해의 가스층 개발과 관련해 중·일간에 빚어진 영토분쟁이 서해에서 재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안주분지·동한만서도 유징·가스징

게다가 미국의 경제제재로 외국인의 대북 투자가 제한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북 투자가 가능한지 여부와 미국이 북한을 ‘핵 보유국’에 이어 ‘산유국’으로 받아들이겠느냐는 정치·외교적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서한만의 지질층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석유가 나왔다는 북한의 발표를 그대로 믿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아직까지 북한내 유전개발의 경제성이나 의제로서의 선택 가능성은 ‘아무도 모른다’가 정답”이라면서 “다만 지질학적으로 어떤 퇴적층에 해당되는지를 조사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경협 의제로서 검토되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中 접경지역… 외교분쟁 가능성도

유전개발은 이번에 처음 거론되는 것은 아니다.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은 여러차례 북한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뒤 “파이프라인을 통해 북한에 매장된 석유를 공급받기로 했다.”고 남북 공동의 석유개발 구상을 밝혀 관심을 끌기도 했다.

우리뿐만이 아니라 중국도 북한 서해 서한만 분지에서 석유와 천연가스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유전개발사업에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다.2005년엔 북한과 유전개발 협정을 맺었다. 앞서 일본, 독일, 캐나다 등의 업체들도 북한내 석유탐사작업에 참여한 바 있다. 따라서 우리가 유전개발에 참여한다고 해도 다른 국가들과 먼저 맺은 협정과 충돌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백문일기자 mip@seoul.co.kr
2007-08-16 1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