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명이 있거나, 별명으로 불리는 사람들은 유명세를 치르거나 대중적으로 사랑을 받는다는 의미다. 그러나 상명하복이 확실한 공무원 세계에서 인간미나 친근감을 느끼게 할 만한 ‘별명’을 짓거나 별명으로 부르는 일은 거의 없다. 있다면 개성이 아주 뚜렷한 몇몇 예외가 있다. 부하직원들이 애정을 가지고 부르는 별명을 가진 공무원들을 모았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권영규 행정1부시장-좀 따지는 편… ‘꼼꼼한 권주사’
권영규 행정1부시장은 ‘권 주사’다. 실·국장들이 결재서류를 들고 오면 “내가 꼭 이 부분을 따져 보자는 것은 아닌데….”라거나, “내가 이 부분이 잘못됐다는 것은 아닌데….”라는 어법으로 시시콜콜 서류를 검토하거나 수정하길 요구하기 때문이다.
섬세하기가 6급 주사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쉬지 않고 일한다고 해서 ‘기대주’(Young Gun)로 부르기도 한다.
최항도 기획조정실장-까칠한 실력자 ‘다혈질 최강도’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오세훈 서울시장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최항도 기획조정실장은 ‘최강도’로 불린다. 일부에서는 항도(伉燾)의 오독을 핑계 삼아 ‘최갱도’라 불린다고 주장하지만, 모르시는 말씀이다. 시 대변인을 거친 최 실장은 열정적이다 못해 다혈질이다.
‘강도’처럼 강압적이고 업무에서는 부하직원들에게 친근하거나 사근사근하지 않은 탓이다. 그러나 시 직원은 이런 그가 알고 보면 불심(佛心)이 가득하고 사심 없고 실력파 공무원임을 안다.
김효수 주택국장-늘 상냥한 얼굴 ‘친절한 판다씨’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효수 주택국장은 ‘북한산 판다’로 불린다. 등산을 좋아하는 그는 암벽 등반까지 하는 베테랑이다. 인왕산 암벽 등반을 할 때 천진난만한 표정이 판다 같다고 해서 친한 사람들끼리 부른다. ‘북한산 판다’라는 이름표가 달린 인형이 김 국장 방에 있다. 상냥하고 항상 웃는 표정의 김 국장에게 오 시장도 “인기 공무원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고 평가한다. 그는 출입기자들이 선정하는 ‘올해 최고로 일 잘한 고위 공무원’으로 2년 연속 대상을 받았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외모만큼 치밀 ‘키 작은 장동건’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작은 장동건’이다. 43세로 젊고 사진을 찍으면 얼굴에 각이 살아 있어 50대의 구청 고위공무원들 사이에서 유난히 돋보인다. 다만, 외모 대비 키가 작은 게 흠이라면 흠이다. 참여정부 때 남북정상회담 행사의 실무담당자로 ‘노짱’ 행사담당비서관으로 일한 덕분에 업무처리가 대단히 치밀하고, 홍보에 대한 감각이 남다른 것도 장점이다. 상대의 마음을 얻기 위해 ‘술폭탄’을 활용하는 등 외모만큼 화끈하고 통큰 스타일이라는 평가다.
김성환 노원구청장-똑똑한 일처리 ‘똘똘이 스머프’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어린이 만화영화의 주인공 ‘똘똘이 스머프’라고 불린다. 고운 피부와 동안(童顔)으로 입가에 늘 웃음을 머금고 지역을 누비기 때문이다.
업무능력에 대한 평가는 높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자기만 똑똑한 줄 안다.’는 비판도 따른다. 그는 구청장실을 찾는 공무원에게 “어서 오세요.” “고생하셨습니다.”라는 인사도 입에 붙었다. 하위직 공무원 상가까지 방문해 직원들과 같이 소주잔을 기울이는 것도 김 구청장의 매력이다.
유종필 관악구청장-중앙정치 출신 ‘3선급’ 구청장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종필 관악구청장은 ‘3선급 구청장’이나 ‘관장님’으로 불린다. 민주당 대변인 등 중앙정치 무대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덕분에 3선 국회의원보다 정치감각과 상황 판단력이 뛰어난 덕분이다.
국회도서관장을 지내고 ‘세계 도서관 기행’과 같은 책도 냈기 때문에 ‘관장님’이란 별칭을 자신도 좋아한다. 하지만, 막상 유 구청장의 전셋집에는 오랜 전세살이로 책이 거의 없다.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