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반도체 시장 50% 장악했던 일본, 지금은 10%↓
“일본업계 구조조정 틈타 삼성전자 등 고액연봉 유혹”
SK하이닉스, 도시바 투자 의결
도쿄의 도시바 본사 로고 아래에 한 남성이 지나는 모습.
사진=AFP 연합뉴스
사진=AFP 연합뉴스
일본의 보수성향 미디어가 자국 반도체 산업이 몰락한 이유로 ‘일본 반도체 산업의 우수인력이 한국과 중국 등으로 유출됐기 때문’이라는 진단을 내려 논란을 빚고 있다.
일본 유력 주간지 슈칸신초(週刊新潮)의 인터넷판 데일리신초는 최근 발간호에서 ‘인재 유출로 중국, 한국에 기술 새나갔다’라는 기사를 통해 NEC와 히타치, 후지쓰, 도시바 등 과거 세계를 제패했던 자국 반도체 업계가 몰락한 이유를 조명했다.
2일 데일리신초에 따르면 “과거 ‘산업의 쌀’로 불렸던 초고성능 일본 반도체는 자동차, 가전에서 무기에 이르기까지 세계시장의 절반을 점유했지만, 지금은 10% 이하로 쪼그라들었다”고 진단했다.
“디램(DRAM)으로 불리는 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해 1990년까지 세계 반도체 업계의 톱10에는 항상 6~7개의 일본 기업들이 포진했고 시장 점유율도 1988년에는 세계 전체의 50.3%에 달했다. 그런 영광의 시대가 쇠락으로 돌아선 계기로 우선은 1986년 미·일 반도체 갈등 국면에서 미국에 완패한 것을 들 수 있다.”
기사는 “당시 일본 정부가 미국의 ‘외국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20% 이상’ 요구를 대책없이 받아들임으로써 일본 기업이 한국 삼성전자의 반도체를 대신 판매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10년이나 지속됐다”고 전했다.
정보기술(IT) 애널리스트 후카다 모에는 “미·일 반도체협정이 체결되자 마치 이때를 기다리기라도 했다는 듯 한국, 대만 업체들이 일본 기업에 ‘불이익을 피하려면 우리에게 기술 이전을 하라’고 제안했고, 일본 기업들은 이를 속절없이 수용하고 말았다”고 말했다.
그 여파로 1990년대 후반부터 NEC 등 주요 일본 기업의 반도체 부문이 줄줄이 적자로 돌아섰고, 세계 톱 메이커의 자리에서 하나둘 내려와야 했다. 현재 일본 기업은 한 곳도 세계 톱10에 들지 못하고 키옥시아(전 도시바 메모리)가 간신히 11위를 달리고 있다.
데일리신초는 특히 1990년대 중반부터 활발해진 한국, 대만 등으로의 인력 유출이 ‘태평양 전쟁 패전 후의 폐허’와 같은 오늘날의 참상을 가져왔다고 했다.
기사는 한때 ‘돈 때문에’ 삼성전자에서 일한 적이 있는 일본인 반도체 전문가의 말을 소개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많은 일본인 기술자들이 주말마다 이른바 ‘토귀월래’(土歸月來·토요일에 나갔다가 월요일에 돌아온다)의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한국과 대만에 일본 반도체 기술을 전수하러 나갔다. 나는 ‘2년간 연봉 3000만엔(세금 제외, 약 3억 1000만원)의 조건으로 삼성전자에 스카우트됐다. 당시 내가 다니던 일본 기업에서 급여를 20% 삭감당한 상태라 작심하고 한국으로 갔다.”
그는 “일본 기업은 다른나라에 비해 회사 기밀정보 관리도 허술해서 나 자신을 포함, 많은 일본인 기술자들이 우리 반도체의 핵심기술을 한국으로 빼돌리는 것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었다”고 전했다.
반도체 자료사진. 서울신문DB
반도체 공급망 확대를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세계 최대 파운드리업체 대만 TSMC가 높은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미국에 이어 일본으로 반도체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사진은 TSMC의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그는 “경제안전 보장을 위한 생산거점 만들기와 신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해외 세력에 앞서나갈 수 있는 기술정보 능력과 우수한 일본 인재를 우대하는 기업의식의 확립이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