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사전´ 내는 在佛 큐레이터 에스라 주

‘한국현대미술사전´ 내는 在佛 큐레이터 에스라 주

입력 2003-04-24 00:00
수정 2003-04-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랑스 사람들에게 한국은 일본이나 중국과 크게 다를 것이 없는 나라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하지만 현대미술에 있어서만은 다르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몇몇 우리 작가들을 선호하는 층도 생겼을 정도로 인지도도 생겼습니다.”

재불 큐레이터 에스라 주(38·한국명 주승란)씨는 한국과 프랑스를 오가며 한국 문화,특히 한국 현대미술을 프랑스에 알리는 ‘문화 메신저’로 활약하고 있다.

12살 때 부모님을 따라 프랑스로 건너가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사립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주씨는 취미삼아 전시 기획일을 시작했다.하지만 10년을 넘다 보니 어느 새 국경을 넘나드는 전문 큐레이터로 자리매김했고,지난 2월에는 제4회 한불문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광도 안았다.한불문화상은 한국과 프랑스 두 나라의 문화계 인사들로 구성된 한불문화자문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주불 한국대사,후원기업의 대표 등으로 구성된 한불문화상협회가 확정하는 상이다.제2회에는 정명훈씨가 수상했었다.

주씨는 지난 93년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린 ‘한국의 해’ 전시를 공동기획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10년간 다양하고 수준높은 전시회들을 기획,한국작가들을 프랑스에 소개해오면서 민간 외교사절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특히 1998년 프랑스·독일·스위스 국경지대에 있는 몽벨리야르에서 열린 ‘은둔의 왕국과 침묵의 화가들’ 전시회는 한국의 높은 문화수준을 프랑스 사람들에게 본격적으로 소개한 첫 전시회로 현지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은둔의 왕국’에서는 17세기부터 조선 말기까지의 예복과 한복,보자기를 통해 한국 전통미의 높은 수준을 알렸고 ‘침묵의 화가들’에서는 이강소,이우환,박서보,서세옥 등 전통을 현대와 접목시켜 나가는 8명의 유명 작가를 소개했다.이듬해 니스 아시아예술미술관 개관 기념전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재현된 이 전시회의 도록은 두 권의 책으로 엮어져 좋은 반응을 얻었다.

주씨의 대표적인 기획작으로는 이밖에 2000년 파리의 주드폼 국립미술관에서 열린 조덕현 전시회,2002년 국회의사당에 있는 팔레데콩그레 전시관에서 열린 이강소 화백의 전시회 등이 있다.올해 말 주드폼 국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씨와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 화가인 김창렬 화백의 2인전도 주씨의 단독 기획작품이다.

지난해 파리 시내에 갤러리 ‘에다에스 세비라’를 오픈한 주씨는 프랑스의 젊은 작가들을 한국에 알리는 일에도 적극적이다.

“일방적인 전달은 문화교류라고 할 수 없습니다.지금까지 우리는 일방적으로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이는 데 급급했지만 이제는 우리 것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진정한 문화교류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씨는 요즘 한국 현대예술을 유럽 사회에 널리 알리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불·영·독어 등 3개 국어로 된 ‘한국 현대미술 사전’ 발간을 준비 중이다.

“한국의 현대미술은 미술 애호가들에게 새로운 관심분야로,한국 작가를 선호하는 화랑들도 많아졌지만 작가들을 소개하는 자료들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10년간의 일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제대로 된 한국 현대미술 소개서를 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함혜리기자 lotus@
2003-04-2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