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드라이브]맞춤 영화제의 힘

[시네드라이브]맞춤 영화제의 힘

황수정 기자 기자
입력 2003-01-08 00:00
수정 2003-01-0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지의 제왕’과 ‘해리 포터’시리즈가 스크린을 나눠먹기한 지난 연말.서울 동숭동의 예술영화상영관 하이퍼텍 나다는 무풍지대였다.27일부터 국내외 영화 11편을 골라 재상영한 프로그램 ‘나다의 마지막 프로포즈’를 찾는 관객들로,총 147석을 갖춘 극장은 평일 낮에도 90% 가까운 좌석점유율을 기록한 것.극장측은 “작품성 있는 영화 몇편을 한 자리에서 골라보려는 관객이 늘고 있다.”며 ‘조용한 흥행’의 배경을 짚었다.

‘맞춤형 영화제’가 극장가의 새 마케팅 기법으로 인기를 끈다.하이퍼텍 나다의 김난숙 팀장은 “상업성 짙은 블록버스터에 싫증난 관객이 작품성과 오락성을 검증받고 엄선된 영화들을 편안히 골라보고 싶어한다.”면서 “이 프로그램에 20대보다 30∼40대 관객의 호응이 두드러지는 건 특히 흥미롭다.”고 말했다.‘나다의 마지막 프로포즈’에서 상영한 영화 11편은 한국영화 ‘낙타(들)’ ‘남자,태어나다’와 외화인 ‘피아니스트’(미하일 하네케 감독) ‘이브의 아름다운 유혹’ ‘도니 다코’ 등.최근 주요 상영관에서 흥행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일주일 안에 간판을 내린 작품들이다.

관객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도 ‘맞춤형 영화제’의 인기를 뒷받침하는 요소.지난 12월 중순 하이퍼텍 나다와 시네마테크 부산이 공동기획한 ‘장 뤽 고다르 영화제’도 20대 후반에서 40대 관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호응을 얻었다.고다르 감독의 작품들이 극장용 프린트로 상영되기는 국내 처음이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필름 대여료 및 자막료로 4500여만원이 들어갔지만 9000명이 넘는 관객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77편의 국내외 단편을 소개한 제28회 서울독립영화제도 기대 이상의 두꺼운 관객층을 확인했다.서울 미로스페이스와 아트시네마에서 9일동안 열린 영화제에는 지난해 관객수를 한참 웃도는 7500여명이 다녀갔다.

영화의 다양성을 위해 예술영화 전용관을 반강제로 도입하는 정책에는 문화적 향기가 없다.씨네큐브·미로스페이스 등에서 다양한 주제의 ‘맞춤형 영화제’를 기획해 관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니 반갑다.천리길도 한걸음부터다.

황수정기자
2003-01-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