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을 지키는 사람들] 4代째 ‘장석’ 만드는 김극천씨

[전통을 지키는 사람들] 4代째 ‘장석’ 만드는 김극천씨

이정규 기자 기자
입력 2001-04-16 00:00
수정 2001-04-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부나이 마흔쯤 되면 누구나 잘 만든 문갑이나 2층장같은조선목기 한 점쯤은 갖고 싶어한다. 방안에 고풍스런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하지만 집주인의 품격과 안목이 풍겨나기때문이다.

이 전통가구의 멋과 기능을 완성시켜 주는 것은 장석(裝錫).두석장(豆錫匠) 김극천(金克千·50)씨는 장석 만들기를평생의 업으로 삼고 있다.그는 경남 통영시 명정동에서 4대째 쇠붙이에 혼을 불어넣고 있다.

김씨가 장석과 직접 연을 맺은 것은 지난 71년.고교를 졸업하면서 당시 중요무형문화재 64호였던 아버지(德龍·96년작고)의 권유로 장인의 길로 들어섰다. 김씨는 그뒤 30년만인 지난해 부친에 이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김씨는“어릴 때부터 아버지 잔심부름을 하면서 어깨너머로 재주를 익혔다”며 “배운 재주를 썩히지 말라는 아버지의 권유를 뿌리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김씨집안의 장석 만들기는 통제영 12공방의 하나였던 두석공방에서 일했던 증조부(宗石)때부터 시작됐다.조부(春國)때는 ‘춘국이 장석’을 사려고 사람들이 팔도에서 몰려들정도였고부친 역시 백동판을 깎고 무늬를 새기는 구복(求福)문양의 조화술로 시대를 풍미했다.

장석만들기는 모두 12공정을 거친다.흑연도가니에 주석과니켈을 7대3 비율로 넣어 풀무질로 녹여 틀에 부으면 백동막대기가 된다.이를 불에 달궈가며 닥달망치로 두들겨 얇은판으로 만든다. 이어 면을 고르는 깍끌작업 후 본을 뜨고,작두나 정으로 모양을 낸다.다시 면을 고르고 다듬어 곡면을 새긴후 조각을 넣고 광내기를 마치면 비로소 장석이 완성된다.

이조목기에는 보통 150∼300개의 장석이 들어간다.2층장에들어가는 한벌(약 200개) 만드는데 보름정도 걸리지만 가격은 30만원 정도. 이런데도 요즘엔 일감마저 없다. 아파트생활을 선호하는 신세대들이 전통가구를 외면하기 때문이다.

김씨는 “80년대까지만 해도 장석만 박아주는 종업원을 둘정도로 일감도 많고 수입이 짭짤했으나 통영 나전칠기가 쇠퇴하면서 생계유지가 어려울 정도”라고 어려움을 털어놨다.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인에게 월 90만원씩 지급하던 보조금을 지난해부터 없앴다.

그래도 김씨는 장차 자신의 이름으로 전시회를 여는 것과가업의 맥을 이어갈 작은아들(眞煥·21)이 있기에 오늘도열심히 조이질을 한다.연락처 (055)645-3580.

통영 이정규기자 jeong@
2001-04-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