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미(美)를 추구하는 데는 어떤 배경이 놓여있을까.인류역사를 통해 미의 실체에 관한 정의는 끝없는 논쟁을 이끌어내왔다.여성의 미를 얘기할 때그 소란은 더했다.여성미의 기준이 남성우월문화의 조작에 근거한다는 페미니즘적 주장은 때로 치장에 열중하는 여성을 부자연스런 인간유형쯤으로 내몰기까지 했다.
하버드대 의대 교수이자 심리학자인 낸시 에트코프는 미인을 선호하는 것은사회적 배경과는 무관하며,그것은 유전자에 새겨진 본능일 뿐이라고 일축한다.‘美-가장 예쁜 유전자만 살아남는다’(살림)는 철저히 생물학에 논거를두고 출발한다.여성미의 가치기준을 남성우월주의 운운하는 페미니스트들의주장을 정면부정하고 있는 셈이다.
책은,다윈의 적자생존론처럼 미를 엄연한 진화의 산물로 파악한다.아름다움은 성적 매력을 발산하고 진화과정에서 그것은 종족 보존에 유리하다는 점에서 가치평가돼왔다는 것이다.동물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이를테면 화려한 것을 ‘밝히는’ 암컷 새의 경우.1930년대 유전학자 로널드 피셔는 성의 선택과정에있어 도태의 원리를 그 이유로 제시했다.자신의 새끼가 훗날 짝짓기때 선호대상이 되길 원하므로,암컷 새는 더 크고 화려한 장식물을 단 수컷 새를 좋아한다는,생물학적 접근논리다.결론은 미의 진화다.그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일급 신체조건을 갖추려는 수컷새의 노력이 점점 꼬리를 길고 화려하게 만들어갔다.
이 모두에 앞서야 할 논거는 ‘미에 대한 욕구는 생물학적 본능’이라는 명제다.어른들이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얼굴사진에 생후 3개월짜리 아기도 가장 오래 반응한 실험결과가 그걸 말해주고 있다고,지은이는 예로 든다.이기문옮김.값 9,000원.
황수정기자 sjh@kadily.com
하버드대 의대 교수이자 심리학자인 낸시 에트코프는 미인을 선호하는 것은사회적 배경과는 무관하며,그것은 유전자에 새겨진 본능일 뿐이라고 일축한다.‘美-가장 예쁜 유전자만 살아남는다’(살림)는 철저히 생물학에 논거를두고 출발한다.여성미의 가치기준을 남성우월주의 운운하는 페미니스트들의주장을 정면부정하고 있는 셈이다.
책은,다윈의 적자생존론처럼 미를 엄연한 진화의 산물로 파악한다.아름다움은 성적 매력을 발산하고 진화과정에서 그것은 종족 보존에 유리하다는 점에서 가치평가돼왔다는 것이다.동물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이를테면 화려한 것을 ‘밝히는’ 암컷 새의 경우.1930년대 유전학자 로널드 피셔는 성의 선택과정에있어 도태의 원리를 그 이유로 제시했다.자신의 새끼가 훗날 짝짓기때 선호대상이 되길 원하므로,암컷 새는 더 크고 화려한 장식물을 단 수컷 새를 좋아한다는,생물학적 접근논리다.결론은 미의 진화다.그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일급 신체조건을 갖추려는 수컷새의 노력이 점점 꼬리를 길고 화려하게 만들어갔다.
이 모두에 앞서야 할 논거는 ‘미에 대한 욕구는 생물학적 본능’이라는 명제다.어른들이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얼굴사진에 생후 3개월짜리 아기도 가장 오래 반응한 실험결과가 그걸 말해주고 있다고,지은이는 예로 든다.이기문옮김.값 9,000원.
황수정기자 sjh@kadily.com
2000-06-27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