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목에 꽃피는 시대­가을/민홍규 옥새 전각장(굄돌)

고목에 꽃피는 시대­가을/민홍규 옥새 전각장(굄돌)

민홍규 기자 기자
입력 1998-12-24 00:00
수정 1998-12-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조선 태종 이방원은 신하를 길들이는 방편으로 국새(옥새)를 세자에게 물려주는 연출을 자주 했다. 태종을 이은 세종은 ‘국가와 왕권의 상징’인 국새를 제작하는 나라는 황제국,받는 나라는 조공국이라는 사실을 감안해 국새를 고려때처럼 직접 제작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숙종때 민진후는 나라에서 봉급을 주는 옥새전각장을 두도록 상소한 뒤 이 분야가 오늘에 이른다.

국새란 종합예술적으로 제작되므로 옥새전각장은 회화·조각·서예·주물·동양사상·문자운기학·역사 등의 학문과 실기,계율을 확고히 계승한 자에게만 인정되는 혹독한 분야이다.

지난 1월 인수위원회가 대한민국 국새를 공개했다. 이때 필자는 신문을 통해 국새교체를 건의했고 행정자치부는 “그동안 사용한 국새가 낡아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필자는 그후 담당자에게서 “새 국새는 부분으로 나눠 제작하겠다”는 방침을 듣고 국새전수자로서 동참을 거절했다. 국새제작자문위원회를 구성한 다수가 분야별 작가들이며,새 국새는 이들이 자기 분야에서 선택한 사람에게 작업시켜 편집하는 방식이다.

세상에서 가장 예쁜 눈과 코와 입을 떼어 모아 최고 미인을 만든다는 식은 이미 알려져 있듯이 부정적이다. 행정상으로는 좋을지 모르나 국가상징의 전통·법통성은 결여되어 있다. 마치 송대에 한 사내가 벼를 잘자라게 하려고 매일 벼를 뽑아올려 결국 죽게 만든 ‘조장(助長)’의 고사처럼,전래 국새의 형태를 새로 만들 수는 있으나 전문지식없이 제작되는 새 국새는 요즘 전문가들을 살맛나게 하는 정부의 ‘신지식인’표방에 상반된다.

현대의 금속공학은 얼마전 에밀레종 버팀못 재현에 실패했다. 국가 상징인 국새마저 서양식으로 만들고 겉장식인 매듭·궤는 전통기능으로 하겠다는 국새담당자의 행정·문화의식을 보며,국가를 위해 오래 간직할수록 아름다운 것이 이 시대에 힘이 되지 못하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금치못한다.

1998-12-24 1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