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조약 전야 항일 구심체(다시 태어난 ‘대한매일’:5)

을사조약 전야 항일 구심체(다시 태어난 ‘대한매일’:5)

이용원 기자 기자
입력 1998-10-21 00:00
수정 1998-10-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日 야욕에 ‘항거필봉’ 민족울분 대변/“일인 내정간섭 한국 독립은 어디 있느냐”/고종위협 이토 히로부미에 연일 직격탄/일진회만행 등 대서특필 배일정신 고취

1905년 11월은 한민족에게 잔인한 달이었다.그 달 17일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돼 대한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됨으로써 외교권,넓게는 실질적인 국권을 일제에게 빼앗겼다.

이를 앞두고 일본에서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책임지고 한국에 가 조약을 맺어 장차 한국을 일본에 편입토록 하겠다”고 국민에게 공언했다.이땅에서는 친일조직인 일진회(一進會)가 한일합병을 공공연히 지지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집회를 열어 민심을 들끓게 했다.

따라서 1905년 11월 들어 17일자까지(조약체결 사실은 18일에야 알려졌다) 대한매일신보의 지면은 이토와 일진회에 대한 공격이 주를 이루었다.아울러 한반도에 주둔한 일본군의 만행,곳곳의 의병활동,백성의 피폐한 생활상에 관한 보도도 끊임없이 이어졌다.

이토는 11월9일 특파대사 자격으로 서울에 들어왔다.이날 대한매일은 2면에 단신 두 토막으로 짧게 보도한다.‘이토 후작이 8일 오후 부산항에 도착하니 경부선 통과 지역의 군수들은 경계에 나와 영접하라는 내부(내무부)의 지시’와,‘경청(경찰청)에서 이토의 입경 때 기병대 5명을 동원해 선도하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토가 10일 고종황제를 알현해 1차 위협을 가한 사실이 전해지자 본격적으로 공격에 나선다.

다음날 1면 톱으로 실은 ‘이등후(=이토 후작)’라는 논설에서 대한매일은 “한국의 내정은 일본인이 지휘하고 외무는 동경(도쿄)에서 관할하니 한국의 독립은 어디 있느냐”고 공박했다.이와 함께 대한 13도(道) 유생 대표 金東弼 등이 이토에게 보내는 장서(長書)를 3면에 싣는다.

이토에 대한 공격은 ▲유생 대표들이 보낸 장서에 대해 이토의 해명을 촉구하는 논설(14일자 1면 톱) ▲어린 학생(幼學·유학)인 盧瑛鉉의 상소문(15일자 2면) ▲이토의 무리한 조약체결 요구를 비판한 논설(17일자 1면 톱)로 이어진다.

이같은 대한매일의 붓끝이 어찌나 날카로웠던지 이토는 훗날 “한국에서 신문이 가진 권력은 비상한 것이라내 말 백마디보다 신문의 글 한줄이 한인을 감동시키는 힘이 더욱 크다”고 술회한다.덧붙여 “그 중에도 대한매일신보는 일본의 제반 악정(惡政)을 반대하여 선동함이 끊이질 않는다”고 한탄한다.

일진회에 대한 공세도 뒤지지 않았다.일진회는,尹始炳의 유신회(維新會)와 李容九의 진보회(進步會)가 결합해 그 전해 8월20일 출범한 대표적인 친일단체이다.일진회는 “한일 양국의 관계를 옛체제로 회복하려는 것은 거의 죽은 자를 다시 살아나라고 책망함이니…순전히 친구나라(일본)가 지도하는 대로 문명에 나아가고 독립을 유지하는 것이 가하다”는 내용의 일진회 선언서를 11월13일 발표한다.

그러자 대한매일은 일진회를 규탄하는 민족의지를 전하는 데도 앞장섰다.이 가운데 17일자 2면의 한 기사는 당시 일진회에 대한 국민의 반감과,일진회의 횡포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저께 각 소학교 학도 300여명이 모여 그 대표를 일진회에 보내 소위 선언서의 취지를 물었다.일진회측은 대표학생들을 일일이 협실(夾室=좁은 방)로 유인,때리고 협박했다.지사인(指使人=배후인물)을 불러내라며 억지로 진술서를 받았다…”는 내용이다.이 기사에 대한매일의 입장이 덧붙지는 않았지만 국민의 공분을 대변했음은 분명히 알 수 있다.

을사조약이 체결되기 직전인 1905년 11월 초 대한매일의 배일(排日)논조는 여느때처럼 활활 타올랐다.그러나 조약이 강제 체결됐음이 알려진 18일부터 대한매일은 민족지의 대표로서 더욱 강력하게 대일전선에 앞장선다.<李容遠 기자 ywyi@seoul.co.kr>

◎대한매일신보 문체 특징/이야기·사설체로 일제·친일파 조롱/부패한 사회지도층 질타/‘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백미

대한매일은 일제나 친일파를 풍자·조롱하는 사설체(辭說體)·이야기체의 기사를 자주 실었다.

그 많은 사설·이야기체 기사 가운데 대표작의 하나가,1905년 11월17일부터 12월13일까지 20회 연재한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이다.

한글로만 쓴 이 이야기체 기사는 “일전에 어떠한 소경 하나가 막대를 뚜덕거리고 어느 망건가게 앞으로 지나가는데/그곳에서 망건 일하는 앉은뱅이가 그 소경을 불러 가로되 ‘여보게 그동안 어찌하여 오래 만나지 못하였나’/소경이 대답하기를 ‘자연 그렇게 되었네마는 그동안 술이나 잘 먹었나’/”로 시작된다.

소경과 앉은뱅이는 이어 술도 제대로 못먹을 정도로 곤궁해진 세월을 한탄한다.

그들은 “신화(새로 발행한 돈) 한푼 얻어보기는 하늘의 별 따기요,구화(옛 돈)조차 구경할 수 없으니 어느 겨를에 술을 먹을 수 있으며 먹은들 취할 수 있겠는가”고 주고받는다.

그들의 푸념에는 당연히 시대상황에 대한 불만·우려가 담겨 있다.망건 만드는 앉은뱅이가 수입이 준 까닭은 “머리 깎는 사람 많아서(단발령)제가끔 망건을 팔아먹으려 들기 때문”이다.그러면서 “아무 것도 아니하고 잘 차려 입은 채 뒷짐이나 지고 재상 집으로만 돌아다니는 사람들(양반 또는 벼슬아치)은 무엇을 먹고 사는지 궁금하다”며 그들을 협잡배로 몰아붙인다.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은 그 시대 민중의 정서와 사고를 대변한다.세상살이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나라는 일제에게 넘어갈 판인데,부패한 사회 지도층은 제멋에 취해 세상 돌아가는 꼴을 모른다.지금 이 시대 우리에게도 가슴 뜨끔해지는 경고가 아닐 수 없다.<李容遠 기자>
1998-10-21 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