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장 개척만이 살길/유인택 영화제작자(특별기고)

해외시장 개척만이 살길/유인택 영화제작자(특별기고)

유인택 기자 기자
입력 1998-09-24 00:00
수정 1998-09-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영화관람 편수는 약 0.9편이며,연간 총관람인원은 4,000만명,입장수입은 2,000억원을 웃돈다.이 중에 국산영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20%정도이다.

반면 세계 영화시장을 지배하는 미국은 국민 1인당 관람이 약 5편,총관객수는 12억명 가량이다.게다가 ‘타이타닉’이나 ‘고질라’같은 할리우드 대작 1편의 제작비만 2억달러 안팎이다.우리돈으로 환산하면 2,000억원이 넘는다. 한국의 1년간 극장 총수입과 같고,국산영화 평균제작비 10억원의 200배에 달한다.

○아시아·남미 등 틈새시장 공략

한마디로 비교가 안되는 게임을 하는 것이다.그나마 스크린쿼터제라는 국산영화 보호장치가 있는데다 한국영화의 질적 향상,국민의 우리영화 사랑에 힘입어 선전하고 있다.하지만 위에서 보듯 국경 없는 무한경쟁시대에 한정된 국내시장만 바라보고 언제까지 보호막 아래서 영화를 만들 수는 없다.따라서 어떻게든 시장을 넓히는 것이 자명한 목표이자,21세기 한국영화의 생존이 달린 문제이다.

자,그러면 해외 어디로 어떻게 진출할 것인가.우리영화 수준으로 볼 때 미국시장을 곧바로 공략하기는 무리다.그대신 유럽을 비롯하여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 틈새시장을 우선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선 첫째,미국 일변도인 시각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정지영 감독의 작품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가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듯이 우리는 너무 미국영화에 젖어 있다.세계시장의 80%를 지배하는 미국영화와 비슷한 스타일로 또다시 해외에서 경쟁하는 것은 넌센스이다.홍콩영화가 독특한 스타일의 액션영화와 왕가위로 대표되는 작가영화로 해외시장에서 성공했듯이 미국영화와 차별되는 우리 스타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마케팅·배급 전문가 키워야

둘째,이러한 작품은 국내 시장성에서 미흡해 보이더라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과감하게 투자·지원하여 지속적으로 만들게 해야 한다.당장은 팔리지 않더라도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작품에 성공하면 그 제작자·감독의 앞선 작품도 재평가되고 팔리는 것이 해외시장의 속성이기 때문이다.3년전 작품인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 적은 액수나마 지금도 꾸준히 팔리는 것이 좋은 예라 하겠다.

셋째,아무리 좋은 상품도 마케팅과 배급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소용없듯이 영화 역시 마찬가지다.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할 수 있는 마케팅 및 배급 전문가를 키워야 한다.고급인력인 이러한 전문가를 1년에 1∼2편 제작하는 영세한 영화사가 감당할 수는 없다.영화진흥공사가 이를 전담,각 영화사 작품을 모아 마케팅과 배급에 능동적으로 나서야 한다.기획단계부터 영화진흥공사가 아예 해외배급권을 담보로 제작비를 지원 또는 투자해 수출 가능성이 높은 영화의 생산을 촉진하며,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해외에 팔아야 한다.

넷째,해외공동제작(합작)의 활성화다.공동제작에는 투자부담을 줄이면서 상대국가의 영화시장을 담보하는 이점이 있다.이웃 일본을 비롯하여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공동투자 방식으로 미국영화에 대응하는 블록을 형성하는 것이 좋은 예다.한미통상협상에서 보듯 스크린쿼터 폐지 압력은 거세지고,일본영화 개방은 눈앞에 닥쳐왔다.이같은 무한경쟁시대에 한국영화가 사는 길은 해외시장 개척뿐이다.이제 과감한 실천만이 남았다.<기획시대 대표>
1998-09-24 1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