內助/李世基 논설위원(外言內言)

內助/李世基 논설위원(外言內言)

이세기 기자 기자
입력 1998-07-24 00:00
수정 1998-07-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우리는 왜 말을 하는가’란 질문에서 스위스의 언어학자 소쉬르는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라고 대답한다. 의사소통을 위해서 아무 말이나 막 하라는 것은 아니다. 언제 어느장소 누구냐에 따라 할말이 있고 하지 말아야할 말이 있다. 예를 들어 술자리에서 아무렇게나 떠드는 말은 잡담이다. 그러나 언중유골(言中有骨)이라고 했듯이 예사로이 들어넘기지 못할 단단한 속뜻이 말속에 담겨져 있기도 하다. 공식석상에서는 ‘할말’만을 골라서 제대로 하는 것이 상식이다.

전 축구국가대표팀 감독 차범근씨 부부의 월간지 인터뷰내용중 ‘해서는 안될 말’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축구경기에서의 ‘승부조작’과 축구협회기술위원들을 ‘파리떼’에 비유한 예등이다. 처음엔 ‘지금으로선 인터뷰할 처지가 아니다’고 사양했으나 결국 부인을 동반한 자리에서 ‘할말 안할 말’을 너무 쏟아놓았고 말 잘하는 부인이 이를 보충설명하고 있다. 물론 말없는 것이 미덕인 것처럼 할말을 하는 것도 미덕이다. 그러나 할말이 태산같아도 때와 장소를 가려 말을 참는 것은 자기자신을 아끼는 일이다. 아무리 분통이 터지고 억울해도 자신의 처지와 입지만을 내세우는 말은 구차한 변명에 불과하다. 더구나 당사자도 아닌 조언자의 입장에서 말을 고르지 않고 함부로 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느낌마저 준다. 감독부인의 자리에 있다보면 궂은일 마른일을 고루 살피고 참견하고 판단해야 할 일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내조란 말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또 말을 많이 하는 것보다 짧으면서도 의미심장하게 요소를 찌르는 말이 잘하는 말이다. 남편이 냉정을 잃더라도 이를 자제시키는 일이 내조다.

모든 위대한 지도자들의 뒤에는 숨은 내조의 공이 울타리를 치고 있다. 소리없는 그림자 내조도 있고 남편의 위치에 버금가는 권한을 행사하는 내조도 있다. 이번 발언중에서 부인의 ‘제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아벨란제 앞에서는 무릎을 굽히고 인사합니다’란 구절은 내조가 잘못 가고 있음을 일깨운다. ‘익은 벼’의 모습은 무르익은 지성이라는 것과 ‘침묵’은 때로 빛나는 금이라는 것을 되새겨달라고 당부하고 싶다.

1998-07-24 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