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고공 탐사시대 열린다/10㎞ 상공서 12시간 체류 반경 200㎞ 원격 탐사/기상환경 관측·농작물 작황조사 등 임무 다양/선진국도 연구개발 단계… 세계시장 진출 전망 밝아
조종사없이 지상 10㎞ 이상의 고도에 12시간 남짓 머물면서 지구상의 오염상태나 농작물 작황 등을 속속들이 탐지하는 ‘무인 항공기’(UAV·Unmanned Aerial Vehicle)가 수년내 국내에서 실용될 전망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는 최근 무인항공기의 타당성 및 기초설계 조사를 마치고 5개년 목표로 올 하반기 ‘고 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기’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무인 고공 원격탐사시대’의 개막을 예고하고 있다.
항공우주연구소가 구상중인 무인항공기는 고도 10㎞ 가량의 상공에 12시간 이상 체류하면서 지상 200㎞ 반경을 원격 탐사·감시하거나 기상·환경을 관측하는 비행체.
무인 항공기는 크게 자동조종항법장치와 실시간 자료처리장치를 탑재한 비행체,비행체와 지상국사이에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링크시스템,비행체를 지상에서 조종하는 지상제어기술 등의 3개부문으로 나눠 개발된다.
비행체는 △대기온도·습도·풍향·풍속을 측정하는 기상센서 △분진·오염물질·오존·이산화탄소 측정을 위한 환경센서 △가시광선·적외선 카메라 따위의 광학장비 △구름속 수분량을 탐지하는 기상레이더 △야간 및 악천후 탐색용 합성레이더(SAR)를 탑재한다.이 장비들을 한꺼번에 다 실으면 비행체가 너무 무거워지므로 용도에 따라 필요한 장비를 수시로 바꿔 준다.
무인 항공기의 임무는 비행체에 실리는 장비 만큼이나 다양하다.오존·황사·공해물질 등의 기상관측과 태풍추적·해양오염 탐사에서 조난선박 위치 파악,밀입국선 감시,농작물 작황조사,자원탐사 및 산림감시,도시계획 및 지도제작까지 맡는다.기상청과 환경부·해양경찰청이 무인 항공기 개발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 이같이 다양한 쓰임새 때문이다.
무인 항공기는 개발·운용비용이 무척 저렴하다.같은 크기의 유인 항공기를 제작할 때보다 100분의1까지 비용이 적게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행고도가 유인 항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필요한 자료를 고해상도,실시간으로 보내 오는 장점도 있다.
항공우주연구소 임철호 박사는 “고고도 무인항공기의 특성과 인공위성·유인 항공기의 장점을 결합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고도·장소·시간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선진국도 민수용 무인 항공기 분야는 연구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어 그만큼 세계 시장 진출 전망이 좋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추진중인 환경연구용 무인항공기개발 프로젝트인 ‘ERAST’가 가장 앞서 있지만 최근에야 시제품을 선보였을 정도다.
전문가들은 탐사·통신·정찰·감시·전투용 무인 항공기시장이 2005년을 전후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세계 시장규모도 96년 4백50만달러에서 98년 8백만달러,2000년 1천만달러로 가파른 성장세를 거듭해 2005년에는 1천6백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박건승 기자>
조종사없이 지상 10㎞ 이상의 고도에 12시간 남짓 머물면서 지구상의 오염상태나 농작물 작황 등을 속속들이 탐지하는 ‘무인 항공기’(UAV·Unmanned Aerial Vehicle)가 수년내 국내에서 실용될 전망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는 최근 무인항공기의 타당성 및 기초설계 조사를 마치고 5개년 목표로 올 하반기 ‘고 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기’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무인 고공 원격탐사시대’의 개막을 예고하고 있다.
항공우주연구소가 구상중인 무인항공기는 고도 10㎞ 가량의 상공에 12시간 이상 체류하면서 지상 200㎞ 반경을 원격 탐사·감시하거나 기상·환경을 관측하는 비행체.
무인 항공기는 크게 자동조종항법장치와 실시간 자료처리장치를 탑재한 비행체,비행체와 지상국사이에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링크시스템,비행체를 지상에서 조종하는 지상제어기술 등의 3개부문으로 나눠 개발된다.
비행체는 △대기온도·습도·풍향·풍속을 측정하는 기상센서 △분진·오염물질·오존·이산화탄소 측정을 위한 환경센서 △가시광선·적외선 카메라 따위의 광학장비 △구름속 수분량을 탐지하는 기상레이더 △야간 및 악천후 탐색용 합성레이더(SAR)를 탑재한다.이 장비들을 한꺼번에 다 실으면 비행체가 너무 무거워지므로 용도에 따라 필요한 장비를 수시로 바꿔 준다.
무인 항공기의 임무는 비행체에 실리는 장비 만큼이나 다양하다.오존·황사·공해물질 등의 기상관측과 태풍추적·해양오염 탐사에서 조난선박 위치 파악,밀입국선 감시,농작물 작황조사,자원탐사 및 산림감시,도시계획 및 지도제작까지 맡는다.기상청과 환경부·해양경찰청이 무인 항공기 개발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 이같이 다양한 쓰임새 때문이다.
무인 항공기는 개발·운용비용이 무척 저렴하다.같은 크기의 유인 항공기를 제작할 때보다 100분의1까지 비용이 적게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행고도가 유인 항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필요한 자료를 고해상도,실시간으로 보내 오는 장점도 있다.
항공우주연구소 임철호 박사는 “고고도 무인항공기의 특성과 인공위성·유인 항공기의 장점을 결합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고도·장소·시간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선진국도 민수용 무인 항공기 분야는 연구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어 그만큼 세계 시장 진출 전망이 좋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추진중인 환경연구용 무인항공기개발 프로젝트인 ‘ERAST’가 가장 앞서 있지만 최근에야 시제품을 선보였을 정도다.
전문가들은 탐사·통신·정찰·감시·전투용 무인 항공기시장이 2005년을 전후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세계 시장규모도 96년 4백50만달러에서 98년 8백만달러,2000년 1천만달러로 가파른 성장세를 거듭해 2005년에는 1천6백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박건승 기자>
1998-03-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