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천군 원당리 구석기유적/한반도 최고유적 가능성 높다

경기도 연천군 원당리 구석기유적/한반도 최고유적 가능성 높다

황규호 기자 기자
입력 1997-09-01 00:00
수정 1997-09-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건대 최무장 교수팀 조사/최초 선주민이 쓰던 돌연모 찍개 발굴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2리 구석기유적이 한반도 구석기시대의 표준유적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건국대 박물관장 최무장 교수(고고학)팀이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이 유적 맨아래 문화층에서 가장 원시적인 석기를 찾아내 이를 뒷받침했다.이들 석기류 가운데는 구석기인들이 자갈돌 한쪽면을 떼어내 처음으로 만든 돌연모인 찍개가 주류를 이루었다.

원당리 구석기유적은 임진강가 높은 지대에 자리잡은 강가유적.지난해 1차 조사에서 400평을 발굴한 건국대박물관은 올해 2차 조사에서는 300평에 4개의 구덩이를 파들어갔다.그 결과 지층이 맨위의 지표층으로부터 현무암층까지 모두 9개 층위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이들 지층에서 인류가 살았던 흔적을 남긴 이른바 문화층은 위로부터 2번째 심회적색 찰흙층과 4번째 홍갈색 찰흙층으로 밝혀냈다.

인류가 먼저 들어와 살았던 문화층은 4번째 지층인 홍갈색 찰흙층.이 지층에서 단순한 원시적 돌연모 찍개를 위주로 한 긁개,손톱모양 밀개,찌르개 따위의 석기류가 나왔다.이러한 석기를 만들어 썼던 구석기인들은 오늘날 임진강가 원당리유적에 첫발을 들여놓은 인류.지금으로부터 15만∼20만년전인 전기 구석기시대를 살았던 원당리 구석기인들은 한반도 최초의 선주민이기도 하다는 것이 최무장 교수의 견해다.

원당리유적을 한반도 최고의 구석기유적으로 보는 것은 4번째 홍갈색 찰흙층에서 찍개와 같은 단순한 석기가 나왔기 때문이다.돌맹이 한쪽을 다른 돌로 쳐서 떼어냈을뿐 거의 몸들연장에 가까운 걸음마 단계의 석기류인 것이다.찍개는 물론 원당리 말고 다른 구석기유적에서도 나왔다.그러나 다른 유적에서는 찍개와 함께 잘 발달한 주먹도끼 따위의 돌연모를 거느려 원당리유적에 비해 시기가 뒤진다는 것이다.원당리유적이 한반도 구석기 표준유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도 여기서 찾고 있다.

그리고 이번 발굴조사에 나타난 2번째 지층인 심회적색 찰흙층은 후기 구석기인들이 살았던 문화층,지금으로부터 2만년 전후를 원당리에 살면서 단단한 차돌을 가지고 정교하게 다듬은 석기를 남겼다.날카로운 작은 석기가 대부분이나,큰 강돌을 조개모양으로 떼어 칼처럼 사용한 대형긁개가 출토되어 주목을 끌었다.

그런데 이 유적의 두 문화층 사이에 3번째 황갈색 찰흙층과 4번째 암황갈색 찰흙층에서는 아직 유물이 나오지 않았다.따라서 전기구석기와 후기구석기 사이에 공간으로 남은 3·4번째 지층에서 유물을 찾는 일이 숙제이기도 하다.그러나 유적 이웃 밭에서 후기구석기말에서 중기구석기시대에 유행한 주먹도끼와 같은 석기류가 많이 채집되었다.이를 근거로 발굴을 계속하면 원당리유적에서 공백으로 남은 중기구석기문화를 찾아낼 확률은 얼마든지 남아있다.

원당리유적 발굴 지도위원으로 참여한 서울대 임효재 교수(고고학)는 “고형의 돌연모와 지층을 통해 전기구석기문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그리고 “지금까지 혼란을 겪었던 구석기시대 편년문제도 해결할 길이 트였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1997-09-01 1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