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는 동·서양문화의 동등한 교류”/국가간 협력통한 평화창출 노력 중요/다양한 역사·언어에 상호이해 잇어야
30일부터 6월2일까지 서울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세계화의 도전,21세기를 향한 공감대조성」을 주제로 한 아시아및 국제관계회의가 미국 하버드대 학생회 주관으로 열렸다.첫날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 카터 에커트소장이 행한 기조강연을 요약한다.
먼저 세게화라는 말의 정의와 아시아 국가들이 어떻게 그 과정에 적응해가는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동료들에게 세계화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물어본 결과 다양한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해외활동이 활발한 사업가들은 세계화라는 말을 다국적기업과 동일시했고 세계시장의 전망에 대해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또 단일 국가가 사업무대인 사업가들은 세계화라는 말에 다소 부정적이었다.
또 내 동료 몇몇은 세계화를 서양화의 측면에서 이해했다.예를들어 인권과 민주주의의 확산같은 측면에서 열변을 토했다.
한국의 어떤 친구들은 세계화가 새롭고 기술적으로 좀더 세련된 서양제국주의의 한 형태라고 말하기도 했다.
결국 나는 세계화의 의미를 한국역사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로 했다.지난 19세기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 먼저 생각해보기로 했다.
한국이 제일 처음 서양열강들에 노출되었을 때 많은 조선의 개혁사상가들은 기본적으로 이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었다.바로 당시의 생각이 현재 한국의 세계화와 일맥상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이때 가장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유길준이다.
그당시 유길준의 개화사상이 일제강점과 한국전쟁을 거쳐 현재의 경제적발전을 이룬 한국과 더 나아가서는 아시아 국가들을 이끌어왔다고 생각한다.
세계화라는 용어의 새로운 정의를 가능하게 한것은 바로 현재의 경제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 아시아 국가들이다.세계화가 단지 서양화라는 정의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한 주역들인 것이다.
세계화는 일방적이고 동적인 과정이다.세계화는 또한 서양의 아시아화이고 아시아의 서양화이기도 하다.여기서 중요한 점은 동양과 서양이 동등하게 만나고 있으며 각자 문화의 다양성을 교류한다는 점이다.이제 더 서양과 동양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정치적으로 세계화는 세계평화의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최근의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은 동아시아의 평화를 희구하는 많은 나라들이 서로 협력해서 이루어진 것이다.즉 세계화 과정을 통해 서로가 경제적인 이익을 잃지않을 수 있는 정치적 평화를 모두 바라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결은 한국과 경제적인 교류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중국·일본 등의 협조없이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무엇보다도 세계화는 경제의 한과정이므로 자유무역을 최대한 확대해야 한다.이 과정에서 다국적기업이 큰 몫을 해야한다는 것은 자명한 이치다.
두번째로는 세계적으로 정치적인 민주화과정이 확산되어야한다.셋째,세계화시대에는 국제법과 국제기관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마지막으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다양한 역사와 언어·문화를 배우고 이해하는 일이 세계화의 가장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
한국에는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이있다.세계화의 첫걸음을 딛는 한국의 학생들에게 처음 시작이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한국학연 소장>
30일부터 6월2일까지 서울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세계화의 도전,21세기를 향한 공감대조성」을 주제로 한 아시아및 국제관계회의가 미국 하버드대 학생회 주관으로 열렸다.첫날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 카터 에커트소장이 행한 기조강연을 요약한다.
먼저 세게화라는 말의 정의와 아시아 국가들이 어떻게 그 과정에 적응해가는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동료들에게 세계화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물어본 결과 다양한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해외활동이 활발한 사업가들은 세계화라는 말을 다국적기업과 동일시했고 세계시장의 전망에 대해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또 단일 국가가 사업무대인 사업가들은 세계화라는 말에 다소 부정적이었다.
또 내 동료 몇몇은 세계화를 서양화의 측면에서 이해했다.예를들어 인권과 민주주의의 확산같은 측면에서 열변을 토했다.
한국의 어떤 친구들은 세계화가 새롭고 기술적으로 좀더 세련된 서양제국주의의 한 형태라고 말하기도 했다.
결국 나는 세계화의 의미를 한국역사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로 했다.지난 19세기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 먼저 생각해보기로 했다.
한국이 제일 처음 서양열강들에 노출되었을 때 많은 조선의 개혁사상가들은 기본적으로 이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었다.바로 당시의 생각이 현재 한국의 세계화와 일맥상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이때 가장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유길준이다.
그당시 유길준의 개화사상이 일제강점과 한국전쟁을 거쳐 현재의 경제적발전을 이룬 한국과 더 나아가서는 아시아 국가들을 이끌어왔다고 생각한다.
세계화라는 용어의 새로운 정의를 가능하게 한것은 바로 현재의 경제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 아시아 국가들이다.세계화가 단지 서양화라는 정의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한 주역들인 것이다.
세계화는 일방적이고 동적인 과정이다.세계화는 또한 서양의 아시아화이고 아시아의 서양화이기도 하다.여기서 중요한 점은 동양과 서양이 동등하게 만나고 있으며 각자 문화의 다양성을 교류한다는 점이다.이제 더 서양과 동양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정치적으로 세계화는 세계평화의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최근의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은 동아시아의 평화를 희구하는 많은 나라들이 서로 협력해서 이루어진 것이다.즉 세계화 과정을 통해 서로가 경제적인 이익을 잃지않을 수 있는 정치적 평화를 모두 바라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결은 한국과 경제적인 교류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중국·일본 등의 협조없이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무엇보다도 세계화는 경제의 한과정이므로 자유무역을 최대한 확대해야 한다.이 과정에서 다국적기업이 큰 몫을 해야한다는 것은 자명한 이치다.
두번째로는 세계적으로 정치적인 민주화과정이 확산되어야한다.셋째,세계화시대에는 국제법과 국제기관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마지막으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다양한 역사와 언어·문화를 배우고 이해하는 일이 세계화의 가장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
한국에는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이있다.세계화의 첫걸음을 딛는 한국의 학생들에게 처음 시작이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한국학연 소장>
1996-05-3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