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절상때 10억달러 수지개선/대일적자 커지고 환차손 위험도/기계류부품 국산화·결제통화 다변화 절실
엔고의 호기가 다시 찾아 왔다.미국 달러화에 대한 엔화의 환율이 이 달 들어 전후 최고치(92엔대)를 기록하며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경기둔화를 우려한 미국의 「달러약세 방치」 때문에 엔고가 당분간 지속되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우리에게 엔고는 양면성이 있다.그러나 긍정적인 면이 더 많다.
엔고의 효과분석은 한은 무역협회 등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다.이 분석들을 종합하면 엔화가 10% 절상될 때 우리 수출은 2.2%(23억달러) 가량 는다.반면 수입은 1.1%(13억달러) 늘어 전체적으로 10억달러의 무역수지 개선효과가 있다.
업종별로는 소형 자동차의 경우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고 국산화율이 95%나 돼 엔고로 미국과 유럽의 수출증대가 예상된다.10% 절상 땐 3억8천4백만달러의 수출증대 효과가 있다.
반도체는 D램이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고 세계시장을 분할(한국 25%,일본 45%)하고 있어 10% 절상 때 5억2천7백만달러의 수출증대가 기대된다.반도체를 포함,전자수출은 엔고 덕에 이미 1∼2월에 17억5천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0%가 늘었다.
조선이나 기계류도 일본과 가격경쟁이 심한 품목이어서 엔고 효과를 톡톡히 볼 전망이다.그러나 섬유류나 신발 등 경공업 제품은 일본과 경합도가 낮아 엔고 효과는 미미한 편이다.
걱정되는 측면도 있다.수출경쟁력향상이 임금과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대일적자 심화라는 구조적인 문제도 따른다.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환차손의 위험도 높다.
엔고는 이미 세 차례나 있었다.70년대 초 1차 때에는 35% 절상됐다.미국 무역적자로 야기된 2차(76년 말∼78년 6월)때는 55%,플라자합의에 따른 3차(85년 초∼88년 말)때는 1백13%나 절상됐다.
그러나 우리가 무역수지 개선에 효과적으로 활용한 경우는 적었다.3차 엔고 때 무역흑자를 낸 것을 제외하면 그 이전의 두차례나 최근의 엔고를 제대로 활용한 흔적이 없다.93년부터 지금까지 20% 이상 엔화가 절상됐지만 우리의 교역성적표는 개선기미가 없다.지난 해 63억달러 적자에 이어 올해에도 무역적자는 95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엔고에 따른 경쟁력 제고는 어디까지나 환율변동의 영향때문이지 품질경쟁력과는 관계가 없다.따라서 엔고의 계량적인 효과(무역수지 10억달러 개선)가 그렇다는 얘기이지,실제로 그렇게 된다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엔고 추세를 감안한다면 일본 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을 상실,다 망했어야 했다.그러나 그들의 경쟁력은 여전히 높다.
엔고가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정부나 기업으로선 우선 대일 의존도가 높은 기계류와 부품 및 소재를 국산화하는 일이 시급하다.
품질경쟁력을 높이는 노력도 해야 한다.엔고 속에서도 무역적자가 커지는 모습은 우리 제품의 품질경쟁력이 그만큼 떨어졌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일본기업은 엔고에 대비,수입품의 엔화결제 비율을 60%까지 높였다.우리기업도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 축소를 위해 달러 뿐 아니라 마르크 엔화 등으로 결제통화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권혁찬 기자>
엔고의 호기가 다시 찾아 왔다.미국 달러화에 대한 엔화의 환율이 이 달 들어 전후 최고치(92엔대)를 기록하며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경기둔화를 우려한 미국의 「달러약세 방치」 때문에 엔고가 당분간 지속되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우리에게 엔고는 양면성이 있다.그러나 긍정적인 면이 더 많다.
엔고의 효과분석은 한은 무역협회 등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다.이 분석들을 종합하면 엔화가 10% 절상될 때 우리 수출은 2.2%(23억달러) 가량 는다.반면 수입은 1.1%(13억달러) 늘어 전체적으로 10억달러의 무역수지 개선효과가 있다.
업종별로는 소형 자동차의 경우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고 국산화율이 95%나 돼 엔고로 미국과 유럽의 수출증대가 예상된다.10% 절상 땐 3억8천4백만달러의 수출증대 효과가 있다.
반도체는 D램이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고 세계시장을 분할(한국 25%,일본 45%)하고 있어 10% 절상 때 5억2천7백만달러의 수출증대가 기대된다.반도체를 포함,전자수출은 엔고 덕에 이미 1∼2월에 17억5천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0%가 늘었다.
조선이나 기계류도 일본과 가격경쟁이 심한 품목이어서 엔고 효과를 톡톡히 볼 전망이다.그러나 섬유류나 신발 등 경공업 제품은 일본과 경합도가 낮아 엔고 효과는 미미한 편이다.
걱정되는 측면도 있다.수출경쟁력향상이 임금과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대일적자 심화라는 구조적인 문제도 따른다.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환차손의 위험도 높다.
엔고는 이미 세 차례나 있었다.70년대 초 1차 때에는 35% 절상됐다.미국 무역적자로 야기된 2차(76년 말∼78년 6월)때는 55%,플라자합의에 따른 3차(85년 초∼88년 말)때는 1백13%나 절상됐다.
그러나 우리가 무역수지 개선에 효과적으로 활용한 경우는 적었다.3차 엔고 때 무역흑자를 낸 것을 제외하면 그 이전의 두차례나 최근의 엔고를 제대로 활용한 흔적이 없다.93년부터 지금까지 20% 이상 엔화가 절상됐지만 우리의 교역성적표는 개선기미가 없다.지난 해 63억달러 적자에 이어 올해에도 무역적자는 95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엔고에 따른 경쟁력 제고는 어디까지나 환율변동의 영향때문이지 품질경쟁력과는 관계가 없다.따라서 엔고의 계량적인 효과(무역수지 10억달러 개선)가 그렇다는 얘기이지,실제로 그렇게 된다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엔고 추세를 감안한다면 일본 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을 상실,다 망했어야 했다.그러나 그들의 경쟁력은 여전히 높다.
엔고가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정부나 기업으로선 우선 대일 의존도가 높은 기계류와 부품 및 소재를 국산화하는 일이 시급하다.
품질경쟁력을 높이는 노력도 해야 한다.엔고 속에서도 무역적자가 커지는 모습은 우리 제품의 품질경쟁력이 그만큼 떨어졌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일본기업은 엔고에 대비,수입품의 엔화결제 비율을 60%까지 높였다.우리기업도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 축소를 위해 달러 뿐 아니라 마르크 엔화 등으로 결제통화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권혁찬 기자>
1995-03-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