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무기로 「아주 엔공영권」구상/인니·말련·태·인 등에 합작공장 설립 급증/수직적 통합단계에 도달… 세계시장 공급기지로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의 화려한 수디르만 거리는 도쿄의 긴자(은좌)거리처럼 「일본 자동차」의 물결로 넘쳐흐른다.그러나 수디르만 거리 뿐만이 아니다.인도네시아의 어느 거리에서도 도요타나 미쓰비시등 일본 자동차는 흔히 만날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중 거의 대부분은 일본 자동차메이커와의 합작공장에서 만들어진다.94년 1∼11월 사이에 생산된 29만5천대의 자동차중 95%가 일본과의 합작회사 제품이다.일본자동차를 타고 집에 돌아간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은 일본제 텔레비전을 보며 하루의 피로를 풀고 내일을 설계한다.
인도네시아와 인접한 말레이시아 가정의 TV·에어컨 등 가전제품들도 대부분 일본제품들이다.많은 말레이시아 사람들은 일본의 마쓰시타전기가 만든 에어컨으로 더위를 식히며 소니 등 일본제 TV로 방송 프로그램을 즐긴다.이러한 일본 가전제품의 생산기지는 말레이시아 수도 콸라룸푸르 부근에 있는 샤알람 공업단지.마쓰시타·소니·산요·일본전기(NEC) 등 일본의 대표적인 전자·전기업체들은 모두 합작형태로 샤알람공단에 진출해 있다.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공업단지인 샤알람공단은 마치 일본의 공업단지 같습니다.입주기업의 70∼80%는 일본기업들입니다』 대한무역진흥공사 콸라룸푸르 무역관의 김재효 관장의 말이다.샤알람공단에는 15개의 마쓰시타 업체가 입주해 있다.부품공장 뿐만 아니라 연구소도 이전해 왔다.말레이시아 사람들은 그곳을 「마쓰시타 타운」이라고 부른다고 김 관장은 말한다.그는 『말레이시아에서 연 3백여만대의 에어컨이 생산되는데 그중 90%는 마쓰시타 제품』이라고 설명한다.텔레비전도 거의 90%는 일본 기업과의 합작회사에서 생산되고 있다.
일본제 가전제품과 자동차는 태국을 비롯,다른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국가에서도 홍수를 이루고 있다.아세안의 이러한 현상은 일본경제의 아세안 지배를 나타내고 있다.아세안은 일본기업의 생산·수출기지가 됐다.
일본의 아시아진출은 85년이후 급격한 엔고를 계기로 활발해졌다.일본기업은 엔고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선진국과의 통상마찰을 회피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했으며 아시아는 주여 대상지역이 되어 왔다.89년이후 일본의 해외투자는 부분적으로 감소현상을 나타냈으나 동남아시아지역에 대한 진출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일본의 아시아진출 전략은 8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대만·홍콩·싱가포르 등에 중점을 두었다.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는 임금이 싼 아세안 국가들로 방향을 바꾸었다.일본기업의 적극적인 아시아 진출로 외국인 투자중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다.91년에 이미 일본의 해외투자비율(37.2%)은 미국(12.4%)의 3배가 됐다.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 등 아세안 중심국가들의 외국인 투자중 일본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아세안 투자는 단순히 노동집약적 공장을 저임금 노동력으로 이용하는 차원이 아니다.일본기업은 아세안지역을 세계시장에 대한 공급기지로 만들고 있다.일본기업들은 완성품 조립메이커 뿐만이아니라 부품업체도 동시에 진출시키고 있으며 일부는 연구소까지 이전하고 있다.동남아시아와 일본경제와의 관계는 수직적 통합단계에 이르렀다고 경제전문가들은 말한다.
세계의 성장센터로 주목받고 있는 아세안의 성장도 일본기업을 비롯한 외국투자 덕분이다.80년대 후반이후 아세안의 수출은 급증하고 있는 데 상당부분은 일본계 기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일본계 기업들은 저품질·저가격 제품 생산에서 중·고급품 생산으로 상품의 고도화를 강화하고 있다.아세안의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 수출을 어렵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세안에 생산기지를 구축한 일본기업은 중국·베트남·인도 등 다른 아시아국가 진출을 적극화하고 있다.일본의 정부·기업·학계는 태국·캄보디아·베트남·라오스·중국을 연결하는 「메콩강 유역 종합개발」 청사진을 만들고 일본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사회간접자본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일본은 이러한 활발한 아시아진출을 통해 21세기 아시아 엔공영권을 구상하고 있다.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책으로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일본의 작가출신 국회의원 이시하라 신타로는 지난해 발간한 「NO라고 말할 수 있는 아시아」에서 『군사력을 배경으로 세계를 지배하려는 (미국의) 구상은 구시대의 유물이다.아시아는 일본의 엔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엔경제권을 구축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우익인 이시하라 의원의 주장은 그러나 단순한 환상이 아니라는 것을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일본은 1930년대 군사적 팽창주의로 대동아공영권을 구축했으나 지금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평화적·상업적」 수단으로 더 넓은 「아시아 공영권」을 만들고 있다.전쟁의 패배로 일본군이 아시아에서 철수한지 반세기만에 기업인으로 바뀐 일본인들이 다시 아시아 경제를 지배하려는 야망을 불태우고 있는 것이다.
일본이 기술과 자본을 죄면 아시아경제는 헐떡거리지 않을 수 없다.2차대전후 미국이 기침만 해도 일본은 감기에 걸린다고 말했다.그러나 지금은 일본이 기침만 해도 아시아는 감기에 걸릴지 모르는 경제구조가 되고 있다.일본은 경제력으로 아시아를 지배하려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아시아경제의 일본종속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이창순 기자>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의 화려한 수디르만 거리는 도쿄의 긴자(은좌)거리처럼 「일본 자동차」의 물결로 넘쳐흐른다.그러나 수디르만 거리 뿐만이 아니다.인도네시아의 어느 거리에서도 도요타나 미쓰비시등 일본 자동차는 흔히 만날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중 거의 대부분은 일본 자동차메이커와의 합작공장에서 만들어진다.94년 1∼11월 사이에 생산된 29만5천대의 자동차중 95%가 일본과의 합작회사 제품이다.일본자동차를 타고 집에 돌아간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은 일본제 텔레비전을 보며 하루의 피로를 풀고 내일을 설계한다.
인도네시아와 인접한 말레이시아 가정의 TV·에어컨 등 가전제품들도 대부분 일본제품들이다.많은 말레이시아 사람들은 일본의 마쓰시타전기가 만든 에어컨으로 더위를 식히며 소니 등 일본제 TV로 방송 프로그램을 즐긴다.이러한 일본 가전제품의 생산기지는 말레이시아 수도 콸라룸푸르 부근에 있는 샤알람 공업단지.마쓰시타·소니·산요·일본전기(NEC) 등 일본의 대표적인 전자·전기업체들은 모두 합작형태로 샤알람공단에 진출해 있다.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공업단지인 샤알람공단은 마치 일본의 공업단지 같습니다.입주기업의 70∼80%는 일본기업들입니다』 대한무역진흥공사 콸라룸푸르 무역관의 김재효 관장의 말이다.샤알람공단에는 15개의 마쓰시타 업체가 입주해 있다.부품공장 뿐만 아니라 연구소도 이전해 왔다.말레이시아 사람들은 그곳을 「마쓰시타 타운」이라고 부른다고 김 관장은 말한다.그는 『말레이시아에서 연 3백여만대의 에어컨이 생산되는데 그중 90%는 마쓰시타 제품』이라고 설명한다.텔레비전도 거의 90%는 일본 기업과의 합작회사에서 생산되고 있다.
일본제 가전제품과 자동차는 태국을 비롯,다른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국가에서도 홍수를 이루고 있다.아세안의 이러한 현상은 일본경제의 아세안 지배를 나타내고 있다.아세안은 일본기업의 생산·수출기지가 됐다.
일본의 아시아진출은 85년이후 급격한 엔고를 계기로 활발해졌다.일본기업은 엔고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선진국과의 통상마찰을 회피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했으며 아시아는 주여 대상지역이 되어 왔다.89년이후 일본의 해외투자는 부분적으로 감소현상을 나타냈으나 동남아시아지역에 대한 진출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일본의 아시아진출 전략은 8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대만·홍콩·싱가포르 등에 중점을 두었다.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는 임금이 싼 아세안 국가들로 방향을 바꾸었다.일본기업의 적극적인 아시아 진출로 외국인 투자중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다.91년에 이미 일본의 해외투자비율(37.2%)은 미국(12.4%)의 3배가 됐다.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 등 아세안 중심국가들의 외국인 투자중 일본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아세안 투자는 단순히 노동집약적 공장을 저임금 노동력으로 이용하는 차원이 아니다.일본기업은 아세안지역을 세계시장에 대한 공급기지로 만들고 있다.일본기업들은 완성품 조립메이커 뿐만이아니라 부품업체도 동시에 진출시키고 있으며 일부는 연구소까지 이전하고 있다.동남아시아와 일본경제와의 관계는 수직적 통합단계에 이르렀다고 경제전문가들은 말한다.
세계의 성장센터로 주목받고 있는 아세안의 성장도 일본기업을 비롯한 외국투자 덕분이다.80년대 후반이후 아세안의 수출은 급증하고 있는 데 상당부분은 일본계 기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일본계 기업들은 저품질·저가격 제품 생산에서 중·고급품 생산으로 상품의 고도화를 강화하고 있다.아세안의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 수출을 어렵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세안에 생산기지를 구축한 일본기업은 중국·베트남·인도 등 다른 아시아국가 진출을 적극화하고 있다.일본의 정부·기업·학계는 태국·캄보디아·베트남·라오스·중국을 연결하는 「메콩강 유역 종합개발」 청사진을 만들고 일본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사회간접자본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일본은 이러한 활발한 아시아진출을 통해 21세기 아시아 엔공영권을 구상하고 있다.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책으로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일본의 작가출신 국회의원 이시하라 신타로는 지난해 발간한 「NO라고 말할 수 있는 아시아」에서 『군사력을 배경으로 세계를 지배하려는 (미국의) 구상은 구시대의 유물이다.아시아는 일본의 엔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엔경제권을 구축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우익인 이시하라 의원의 주장은 그러나 단순한 환상이 아니라는 것을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일본은 1930년대 군사적 팽창주의로 대동아공영권을 구축했으나 지금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평화적·상업적」 수단으로 더 넓은 「아시아 공영권」을 만들고 있다.전쟁의 패배로 일본군이 아시아에서 철수한지 반세기만에 기업인으로 바뀐 일본인들이 다시 아시아 경제를 지배하려는 야망을 불태우고 있는 것이다.
일본이 기술과 자본을 죄면 아시아경제는 헐떡거리지 않을 수 없다.2차대전후 미국이 기침만 해도 일본은 감기에 걸린다고 말했다.그러나 지금은 일본이 기침만 해도 아시아는 감기에 걸릴지 모르는 경제구조가 되고 있다.일본은 경제력으로 아시아를 지배하려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아시아경제의 일본종속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이창순 기자>
1995-03-0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