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국립극장에서 공연된 뮤지컬「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팀이 일본어 공연이라는 장벽을 넘어 일주일간 만원사례라는 큰성과를 거두고 돌아갔다.
「지저스…」는 올해초 에이콤의 「아가씨와 건달들」에 이어 바로 공연됐던 영국뮤지컬 「캣츠」가 큰수확을 거둔후 우리나라에서는 두번째로 무대에 오른 외국 뮤지컬단체의 「수입공연물」이었다.「수입공연물」이라는 말이 좀 어색하게 들릴지는 모르지만 「수입쇠고기」라는 말의 역사가 결코 길지 않음을 감안할때 이 말도 곧 익숙해질 것으로 생각된다.더구나 과거 「전자밥통 수입」의 역사를 되돌아볼때 일본사람들의 공연을 수입해 온다는 것이 그리 놀랄일만도 아닌 듯하다.
중요한 것은 들어오려는 것을 무턱대고 막아내려는 고지식한 자세를 버리고 우리가 우리 것을 가지고 외국으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역사는 반드시 비교발전되고 융화돼야 한다.그러한 인식의 바탕 아래서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그래야만 비로소 진정한 발전도 이룰 수 있다.그리고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우리 상품을 만들어 당당히 수출경쟁에 뛰어드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한시라도 빨리 그 준비에 착수,질높은 예술상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21세기를 논하는 많은 학자들의 공통된 미래예측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예술의 르네상스」이다.이를 예견한 미국,영국 등의 예술선진국들은 벌써 문화예술공연을 통해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미국의 「브로드웨이」나 영국의 「웨스트 엔드」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뮤지컬 등 공연예술이 고부가가치의 국제적 상품으로서 그 효과를 보고있는 좋은 경우다.이들은 자국의 관광코스로 공연관람을 유도하여 큰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은 물론,수출을 통해서도 만만찮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특히 뮤지컬은 음악,춤,연기 등이 한데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스펙터클하고 재미도 있어 관객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외국인이라도 이해가 가능하다.이렇듯 문화의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큰 몫을 하고 있는 분야가 뮤지컬인만큼 이제는 기업의 상품수출 못지않게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어쨌든 관객은 재미있고 작품이 좋으면 찾게 되어있다.선진국이라는 의미를 생각할때 문화혜택의 풍요로움 또한 중요하다고 보는데 우수예술품을 찾고있는 관객들이 그 욕구를 충족시킬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해 방황한다면 눈깜짝할 사이에 우리의 관객들을 모두 빼앗기게 될 것이다.「캣츠」나 「지저스…」공연에서처럼.
우리 연극인들은 자극을 받아야 한다.그리고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적응해야 한다.그렇지않으면 우리연극은 외국공연물들에 밀려 아예 사라질지도 모른다.따라서 우리나라의 열악한 극장조건을 개선,극장의 전문화를 추진하는 일이 절실하다.연극이면 연극,음악이면 음악 등 그 전문극장에서 충분한 제작비를 투자해 롱런 공연물을 만들어낼때만이 진정한 문화공간의 전문화가 가능하다.제작자들은 세계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고 또 관객들은 공연보기를 「생활문화」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그래야만 한국연극의 세계성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공공기관이나 기업체에서이런 현실을 이해하고 철저한 준비를 하는 일이 긴요하다.특히 기업인들이 문화상품을 중요한 수출분야로 생각하고 「문화」를 팔지않으면 안되겠다는 인식의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기업 메세나운동이 처음 시작되었을때만 해도 이러한 문제가 거론되는듯 하더니 점차 유명무실해지는 감이 있어 아쉬움을 주고있다.이럴때일수록 정부의 적극적인 문화발전 의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연출가협회회장·단국대교수>
「지저스…」는 올해초 에이콤의 「아가씨와 건달들」에 이어 바로 공연됐던 영국뮤지컬 「캣츠」가 큰수확을 거둔후 우리나라에서는 두번째로 무대에 오른 외국 뮤지컬단체의 「수입공연물」이었다.「수입공연물」이라는 말이 좀 어색하게 들릴지는 모르지만 「수입쇠고기」라는 말의 역사가 결코 길지 않음을 감안할때 이 말도 곧 익숙해질 것으로 생각된다.더구나 과거 「전자밥통 수입」의 역사를 되돌아볼때 일본사람들의 공연을 수입해 온다는 것이 그리 놀랄일만도 아닌 듯하다.
중요한 것은 들어오려는 것을 무턱대고 막아내려는 고지식한 자세를 버리고 우리가 우리 것을 가지고 외국으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역사는 반드시 비교발전되고 융화돼야 한다.그러한 인식의 바탕 아래서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그래야만 비로소 진정한 발전도 이룰 수 있다.그리고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우리 상품을 만들어 당당히 수출경쟁에 뛰어드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한시라도 빨리 그 준비에 착수,질높은 예술상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21세기를 논하는 많은 학자들의 공통된 미래예측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예술의 르네상스」이다.이를 예견한 미국,영국 등의 예술선진국들은 벌써 문화예술공연을 통해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미국의 「브로드웨이」나 영국의 「웨스트 엔드」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뮤지컬 등 공연예술이 고부가가치의 국제적 상품으로서 그 효과를 보고있는 좋은 경우다.이들은 자국의 관광코스로 공연관람을 유도하여 큰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은 물론,수출을 통해서도 만만찮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특히 뮤지컬은 음악,춤,연기 등이 한데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스펙터클하고 재미도 있어 관객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외국인이라도 이해가 가능하다.이렇듯 문화의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큰 몫을 하고 있는 분야가 뮤지컬인만큼 이제는 기업의 상품수출 못지않게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어쨌든 관객은 재미있고 작품이 좋으면 찾게 되어있다.선진국이라는 의미를 생각할때 문화혜택의 풍요로움 또한 중요하다고 보는데 우수예술품을 찾고있는 관객들이 그 욕구를 충족시킬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해 방황한다면 눈깜짝할 사이에 우리의 관객들을 모두 빼앗기게 될 것이다.「캣츠」나 「지저스…」공연에서처럼.
우리 연극인들은 자극을 받아야 한다.그리고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적응해야 한다.그렇지않으면 우리연극은 외국공연물들에 밀려 아예 사라질지도 모른다.따라서 우리나라의 열악한 극장조건을 개선,극장의 전문화를 추진하는 일이 절실하다.연극이면 연극,음악이면 음악 등 그 전문극장에서 충분한 제작비를 투자해 롱런 공연물을 만들어낼때만이 진정한 문화공간의 전문화가 가능하다.제작자들은 세계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고 또 관객들은 공연보기를 「생활문화」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그래야만 한국연극의 세계성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공공기관이나 기업체에서이런 현실을 이해하고 철저한 준비를 하는 일이 긴요하다.특히 기업인들이 문화상품을 중요한 수출분야로 생각하고 「문화」를 팔지않으면 안되겠다는 인식의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기업 메세나운동이 처음 시작되었을때만 해도 이러한 문제가 거론되는듯 하더니 점차 유명무실해지는 감이 있어 아쉬움을 주고있다.이럴때일수록 정부의 적극적인 문화발전 의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연출가협회회장·단국대교수>
1994-10-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