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분리정책후 대중교역 급증/한계 다다른 세계시장 “대륙이 돌파구”/작년 수출액 73억불,1년새 30% 늘어/자본투자도 70억불… 통일협상 입지강화 기대
대만이 인구 12억의 광활한 중국시장을 무대로 「제2의 경제기적」을 꿈꾸고 있다.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경제도약의 새 발판을 이제 중국에서 찾겠다는 것이다.
대만은 이에따라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정치문제와는 별개로 경제분야에 있어서 만큼은 중국에서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만의 이같은 자세변화는 최근 두나라의 교역량이 급증하고 있는데서 잘 나타나고 있다.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을 펴기전까지만 해도 대만과 중국의 교역량은 미미한 상태였다.그러나 지난 88년 대만이 중국에 대한 무역금지조치를 일부 완화하면서 두나라의 교역량은 크게 늘어 지난해에는 대만의 중국수출액이 73억달러를 기록했다.
○엄청난 잠재시장
전년도보다 무려 30%가 늘어난 수치이다.이것도 오로지 홍콩과 제3국을 통한 간접무역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밖에대만기업들은 중국에 70억달러의 자본을 간접투자해놓고 있다.이 자본들은 주로 부동산·주식·서비스부문에 집중투자돼 있다.
이에 힘입어 중국은 이제 대만의 5대무역상대국으로 떠올랐다.대만 역시 일본을 제치고 홍콩에 이어 중국의 최대투자국이 됐다.
대만이 이처럼 중국시장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중국시장이 갖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 때문이다.개혁개방정책이후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국은 마침내 지난해 한국을 앞지르며 세계11위의 수출국으로 뛰어올랐다.이처럼 성장속도가 빠른 중국시장을 미국이나 일본의 기업들이 다 차지할 때까지 「뒷짐지고」지켜볼 수만은 없다는 것이다.
EC통합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 국제경제의 블록화추세와 국내임금상승도 중국진출을 재촉하고 있다.높은 임금때문에 자국상품의 국제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대만으로서는 중국의 값싸고 풍부한 인력에 탐을 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값싼 노동력 풍부
대만은 이미 지난해 고기술상품과 군수물자등 일부품목을 제외한 4천여개의 품목에 대해 대중국수출금지조치를 풀었다.시멘트 철강 석유화학제품등도 곧 금지대상에서 풀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수품 대폭 축소
잇따른 금수해제조치에 대해 일분에서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중국의 개혁속도와 클린턴 미행정부와 대중자세를 지켜보며 보다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미 본궤도에 오른 대만기업의 중국진출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이와함께 두나라가 가트 즉 관세및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에 함께 가입할 시기도 앞당겨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일 독주에 견제
대만은 중국과의 무역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경제발전이라는 성과를 거두는 한편 이를 이용해 통일협상에 있어서도 한층 입지를 강화하는 이중의효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80년대가 미국 등 서방을 상대로 경제기적을 이룬 시기였다면 90년대는 중국을 상대로 경제기적을 이뤄낼 시기입니다』 강병곤대만경제부차관이 최근 경제인간담회에서 한 이말은 지금 중국경제를 바라보고 있는 대만의 시각을 잘 말해주고 있다.<진경호기자>
대만이 인구 12억의 광활한 중국시장을 무대로 「제2의 경제기적」을 꿈꾸고 있다.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경제도약의 새 발판을 이제 중국에서 찾겠다는 것이다.
대만은 이에따라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정치문제와는 별개로 경제분야에 있어서 만큼은 중국에서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만의 이같은 자세변화는 최근 두나라의 교역량이 급증하고 있는데서 잘 나타나고 있다.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을 펴기전까지만 해도 대만과 중국의 교역량은 미미한 상태였다.그러나 지난 88년 대만이 중국에 대한 무역금지조치를 일부 완화하면서 두나라의 교역량은 크게 늘어 지난해에는 대만의 중국수출액이 73억달러를 기록했다.
○엄청난 잠재시장
전년도보다 무려 30%가 늘어난 수치이다.이것도 오로지 홍콩과 제3국을 통한 간접무역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밖에대만기업들은 중국에 70억달러의 자본을 간접투자해놓고 있다.이 자본들은 주로 부동산·주식·서비스부문에 집중투자돼 있다.
이에 힘입어 중국은 이제 대만의 5대무역상대국으로 떠올랐다.대만 역시 일본을 제치고 홍콩에 이어 중국의 최대투자국이 됐다.
대만이 이처럼 중국시장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중국시장이 갖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 때문이다.개혁개방정책이후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국은 마침내 지난해 한국을 앞지르며 세계11위의 수출국으로 뛰어올랐다.이처럼 성장속도가 빠른 중국시장을 미국이나 일본의 기업들이 다 차지할 때까지 「뒷짐지고」지켜볼 수만은 없다는 것이다.
EC통합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 국제경제의 블록화추세와 국내임금상승도 중국진출을 재촉하고 있다.높은 임금때문에 자국상품의 국제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대만으로서는 중국의 값싸고 풍부한 인력에 탐을 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값싼 노동력 풍부
대만은 이미 지난해 고기술상품과 군수물자등 일부품목을 제외한 4천여개의 품목에 대해 대중국수출금지조치를 풀었다.시멘트 철강 석유화학제품등도 곧 금지대상에서 풀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수품 대폭 축소
잇따른 금수해제조치에 대해 일분에서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중국의 개혁속도와 클린턴 미행정부와 대중자세를 지켜보며 보다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미 본궤도에 오른 대만기업의 중국진출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이와함께 두나라가 가트 즉 관세및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에 함께 가입할 시기도 앞당겨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일 독주에 견제
대만은 중국과의 무역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경제발전이라는 성과를 거두는 한편 이를 이용해 통일협상에 있어서도 한층 입지를 강화하는 이중의효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80년대가 미국 등 서방을 상대로 경제기적을 이룬 시기였다면 90년대는 중국을 상대로 경제기적을 이뤄낼 시기입니다』 강병곤대만경제부차관이 최근 경제인간담회에서 한 이말은 지금 중국경제를 바라보고 있는 대만의 시각을 잘 말해주고 있다.<진경호기자>
1993-03-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