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수행 권역별 지지도 조사해 보니
박근혜 대통령의 최대 지지기반이 대구·경북(TK)이 아니라 부산·울산·경남(PK)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인사 편중’ 논란이 제기될 만큼 PK 인사들이 집중 기용된 데 대한 ‘보은의 지지’가 아니냐는 분석도 가능하다. 역설적으로 인사편중 논란도 지역 민심을 결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이는 TK 또는 호남 ‘홀대론’이 고개를 들 수 있는 대목이라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권역별 지지도는 PK 지역이 73.7%로 가장 높았다. 이는 전국 평균 지지도(53.7%)보다 무려 20.0% 포인트가 높은 것일 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TK 지역의 지지도(64.9%)를 8.8% 포인트 앞지른 것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역시 PK(22.8%)가 TK(31.2%)에 비해 훨씬 적었다.
PK와 TK에 이은 권역별 국정 수행 지지도는 강원·제주 58.4%, 대전·충청 56.8%, 인천·경기 52.9%, 서울 45.3%, 광주·전라 23.5% 등의 순이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임기 첫해 인사가 PK 지역에 쏠렸다는 지적과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국정 운영의 양대 축인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각각 경남 하동과 거제 출신이다. 황찬현 감사원장과 김진태 검찰총장 등 5대 권력기관장 가운데 2명이 PK 출신이다. 행정부 외에 사법부 수장인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의 고향도 부산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는 물론 5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6·4 지방선거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우선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PK 지역 응답자의 52.9%는 여권이 내세우는 ‘국정안정론’을 꼽았다. 국정안정론을 선택한 권역별 응답자 비율이 50%를 넘은 곳은 PK가 유일했다. 대구·경북 48.3%, 강원·제주 48.1%, 서울 45.0%, 인천·경기 44.1%, 대전·충청 34.1%, 광주·전라 29.5% 등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가 야권이 주장하는 현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론’에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PK(34.0%)가 TK(32.0%)보다 약간 높았다. PK 출신인 민주당 문재인 의원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지지층이 TK보다는 PK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두텁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4-01-0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