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달 깨물다 이 깨진 황당한 선수

메달 깨물다 이 깨진 황당한 선수

입력 2010-02-19 00:00
업데이트 2010-02-19 1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림픽 메달 잘못 깨물다간 이 다친답니다.’

시상식 중계화면이나 사진을 보면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수상식 뒤 메달을 깨무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다.

사진기자들은 메달이 가짜가 아니라 진짜라는 것을 보여주기라도 하려는 듯 메달리스트들에게 이런 자세를 요구한다.

독일 선수인 다비드 뮐러(28)도 지난 15일(한국시간) 밴쿠버동계올림픽 루지 종목에서 은메달을 딴 뒤 사진 기자들의 요청을 받고 메달을 꽉 깨물었다.
이미지 확대
다비드 뮐러(왼쪽) 밴쿠버 AP 연합뉴스
다비드 뮐러(왼쪽)
밴쿠버 AP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밴쿠버 AP 연합뉴스
밴쿠버 AP 연합뉴스


올림픽 첫 메달의 기쁨을 주체하지 못하고 너무 세게 깨문 탓일까.

뮐러는 이가 깨져 급히 응급실을 찾아야 했다고 미국 야후 스포츠가 19일 보도했다.

뮐러는 “시상식 때 사진 기자들이 메달을 물어보라고 해서 그렇게 했는데 앞니가 조금 떨어져 나갔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게 아프지 않았지만 깨진 이가 보일까 평소처럼 마음대로 웃을 수 없어 신경쓰였다”고 털어놓았다.

은메달을 깨문 사진 속의 뮐러는 웃고 있었지만 너무 턱에 힘을 주고 있었다.

밴쿠버 대회 메달은 역대 올림픽 메달 중 가장 무거운 500~576g으로 캐나다 원주민들에게 친숙한 동물로 여겨졌던 범고래와 갈까마귀의 눈과 지느러미, 날개가 민속 공예기법으로 새겨져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