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아시안게임] Q. 왜 방콕서 네 번 열렸나요

[똑똑 아시안게임] Q. 왜 방콕서 네 번 열렸나요

입력 2014-09-16 00:00
업데이트 2014-09-16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 비용 문제로 개최권 반납국 때문… 한국도 벌금 내고 1970년 반납

서울과 부산에 이어 인천에서 세 번째 아시안게임을 여는 한국은 일본(1958년 도쿄, 1994년 히로시마), 중국(1990년 베이징, 2010년 광저우), 인도(1951, 1982년 뉴델리)를 제치고 두 번째로 개최 횟수가 많은 나라가 된다. 최다 개최국은 방콕에서만 네 차례(1966·70·78·98년)를 치른 태국이다.

방콕에서 유독 자주 열린 것은 개최권을 획득하고도 반납한 국가 때문이다. 한국은 1970년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비용 문제로 반납을 결정했다. 한국은 벌금과 함께 거센 국제적 비난을 받았으며 결국 10개국이 비용을 분담하기로 하고 전 대회 개최지인 방콕에서 치렀다. 1978년에도 비슷한 일이 재현됐다. 개최권을 갖고 있던 싱가포르가 재정 문제로 반납했고 이를 승계한 파키스탄도 손을 들었다. 다시 태국이 다른 국가들의 분담금 지원을 조건으로 대회를 열었다.

경제개발에 성공한 한국은 1986년 서울 대회 개최로 어느 정도 명예를 회복했으나 싱가포르와 파키스탄은 아직도 대회를 열지 못했다. 북한도 1986년 대회 유치에 나서 남북 스포츠 외교전 양상을 보였지만 막판 북한이 포기하면서 서울로 결정됐다.

한편 2019년 하노이의 개최권을 획득한 베트남은 지난 4월 준비 부족과 재정 악화를 이유로 포기를 선언했다. 당초 하노이와 경쟁했던 인도네시아 수라바야가 유치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재정난이 심한 인천에서도 한때 개최권 반납 목소리가 나왔다. 45억명 아시아인의 축제지만, 호스트시티를 찾는 일이 쉽지만은 않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4-09-16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