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노 골드’ 수모 씻는다

광저우 ‘노 골드’ 수모 씻는다

입력 2014-09-05 00:00
업데이트 2014-09-05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레코로만형 전 체급 석권 목표

한국 레슬링은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에서 수모를 당했다. 은메달 3개, 동메달 6개를 수확했을 뿐 금메달을 목에 걸지 못했다. 아시안게임 ‘노 골드’는 1982년 뉴델리대회 이후 처음이었다. 그래서 이번 인천아시안게임에 임하는 한국 레슬링의 각오는 그 어느 때보다 절절하다.

전해섭 총감독은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에서 복싱이 전 체급 우승을 했다. 레슬링은 전 체급 우승이 없었다. 이번에 (남자) 그레코로만형 전 체급 석권이라는 큰 목표를 세웠다”고 당찬 포부를 밝힌 바 있다. 남자 레슬링에는 그레코로만 8개, 자유형 8개 등 총 16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특히 그레코로만의 간판 김현우(26·삼성생명)는 이번 대회에서 그랜드슬램에 도전한다. 2012년 런던올림픽, 세계선수권, 아시아선수권 등에서 모두 정상에 올랐던 그는 유독 아시안게임과는 인연이 없었다. 그동안 66㎏급 경기에 나섰던 김현우는 몸을 불려 이번 대회 74㎏급에 출전한다. 체중 감량에 어려움을 겪은 터라 아예 평소 체중에 근접한 체급으로 뛰기로 했다. 한 체급 위 상대들과 맞서기 위해 이를 악문 훈련을 감내해야 했다. 2004년 아테네대회 금메달리스트 정지현(31·삼성생명)은 마지막 불꽃을 사를 준비를 마쳤다.

대표팀은 남자 자유형에서도 최소 1개의 금메달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장순 자유형 감독은 ‘훈련’을 강조했다. 박 감독은 “중동 선수들의 신체 조건이 우리 선수들보다 뛰어난 것이 사실”이라면서 “그걸 극복하기 위해서는 죽기 살기로 훈련하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대회 목표는 금메달 5개다. 첫 사냥은 27일 인천 도원체육관에서 시작한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4-09-05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