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은 혹사시키지 않았다

김성근은 혹사시키지 않았다

입력 2011-07-20 00:00
업데이트 2011-07-20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광현 147개 투구는 재활 목적

SK 김광현은 지난달 23일 광주 KIA전에서 147개의 공을 던졌다. 데뷔 뒤 개인 최다 투구 수. 거기다 8실점으로 개인 최다실점 타이를 기록했다. 그러나 김성근 감독은 김광현을 끝까지 내리지 않았다. 당시 논란이 됐다. 얼핏 보면 징계성 조치로 보인다. 혹사 논란도 있었다. 뇌경색 병력이 밝혀진 지금엔 논란이 더 커질 수도 있다. “김 감독이 아픈 선수에게 너무했던 것 아니냐.”
이미지 확대
김광현
김광현


결론부터 말해 보자. 혹사나 징계가 아니다. 김광현의 경기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이유가 있다. 의료진은 “뇌경색은 항상 재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운동을 하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운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재발 위험이 줄어든다. 정상 상태로 돌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현재 김광현은 뇌경색 뒤 훈련 부족으로 투구 밸런스를 잃은 상태다. 자신감도 잃어버렸다. 한번 꼬인 투수들은 좀 더 세게 던져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린다. 팔스윙을 과도하게 가져가고 결과적으로 투구 밸런스는 더 무너진다. 악순환이다. 이런 경우에는 공을 많이 던지는 게 방법이다. 몸에서 힘을 뺄 수 있다.

김광현의 경우 많이 던지면서 스스로 가장 좋았던 때 밸런스를 찾아야 할 필요도 있다. 또 운동을 많이하는 게 뇌경색 회복이나 재발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이래저래 김 감독은 ‘김광현 살리기’를 했던 셈이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7-20 2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