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벌집 터져…” ‘의대 증원’ 논란에 이국종 처음 입 열었다

“의료계 벌집 터져…” ‘의대 증원’ 논란에 이국종 처음 입 열었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6-20 13:54
업데이트 2024-06-20 1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필수의료 이미 초토화…의대생 늘려도 필수의료 안 해”

이미지 확대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연합뉴스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연합뉴스
이국종 대전국군병원장이 “의대 정원을 급격히 늘려도 소아과 같은 필수의료의 기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필수의료이자 기피 분야인 중증외상 분야의 최전선을 지켜온 이 병원장이 ‘의대 증원’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 병원장은 지난 1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서 “현재 의료계는 벌집이 터졌고 전문의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 없어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병원장은 “‘필수의료과가 망한다’는 말은 내가 의대생이던 30~40년 전부터 나왔다”면서 “이는 정부 정책의 실패”라고 비판했다.

이 병원장은 “미국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의사와 간호사가 대기하는 시스템을 20년 전부터 갖췄고, 일본이 연간 1800번의 닥터헬기를 띄운다면 한국은 미군헬기까지 동원해도 출동 횟수가 300번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필수의료는 초토화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 병원장은 “30년 전과 비교해 소아과 전문의는 3배가 늘었고 신생아는 4분의 1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작 부모들은 병원이 없어 ‘오픈런’을 한다”면서 “의대생을 늘린다고 해서 소아과를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이 병원장은 의대 교육 시스템과 의대 증원이 상충된다고도 지적했다. 이 병원장은 “의사 교육은 강의식이 아닌 선후배 간 일대일 도제식으로 이뤄져 함부로 많은 수를 양성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병원장은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삼호주얼리호 선장을 치료해 정부로부터 국민포장을 수여받았다. 2013년 모교인 아주대학교병원의 중증외상센터장을 맡아 중증외상 분야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으며, 2023년 국군대전병원 병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