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라스단백질 활성 제어 원리 확인

국내 연구진, 라스단백질 활성 제어 원리 확인

입력 2012-04-10 00:00
업데이트 2012-04-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암 유발 자체 억제 가능성 새 항암제 개발 계기 기대

어려운 학문적인 얘기를 다 생략하면 ‘항암제’는 간단히 ‘암세포를 죽이는 약’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항암제는 많은 경우 일정 수준까지 암세포를 줄이는 것 이상의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대장암이나 췌장암 등이 완치율이 떨어지는 결정적인 이유도 항암제로 일정 수준 이상의 치료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한계 때문이다. 의학·생물학계에서는 정상세포에 주는 영향을 줄이고, 암세포만을 정확하게 골라서 죽일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하는 데 가장 큰 한계를 ‘라스단백질’로 꼽고 있다. 라스단백질은 세포성장신호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약 30%의 암 환자에게서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특히 대장암 환자의 경우 30~50%, 췌장암은 90% 이상의 환자에게서 라스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이미지 확대
최강열 연세대 교수
최강열 연세대 교수
●최강열 연세대 교수팀, 국제 학술지에 연구결과 게재

라스 돌연변이는 암을 유발하는 동시에 항암제의 효과를 무력화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라스의 존재가 처음 알려진 30년 전부터 다국적 제약회사들과 학계는 수많은 연구를 진행했고, 그 결과 라스가 정상적인 위치가 아닌 세포막으로 이동하면 암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제로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라스 이동을 막아 암 발생을 억제하는 항체항암제가 다수 개발됐다. 하지만 라스 이동을 막는 항암제는 라스 돌연변이가 생긴 환자에게는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점이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이 때문에 돌연변이 단계 이전의 라스 자체를 제어하는 항암제 개발이 암 치료의 주요한 전기로 평가돼 왔다.

●국내·외에 특허 출원중

국내 연구진이 이런 라스단백질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원리를 밝혀냈다. 최강열 연세대 교수는 9일 “라스단백질에 인산을 붙여 분해하는 방식으로 라스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자매지인 ‘사이언스 시그널링’ 10일 자에 게재됐다. 최 교수팀은 현재 이 원리를 국내·외에 특허출원 중이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신호체계를 저해하는 인산화 효소가 라스에서도 같은 작용을 한다는 점을 찾아냈다. 인산화 효소와 만난 라스는 단백질 복합체와 결합해 세포 내 단백질 분해장소로 이동한 뒤 분해돼 없어졌다. 이는 암 유발 자체가 억제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돌연변이 발생으로 기존 항암제로도 치료되지 않는 암을 타깃으로 한 새로운 항암제를 만들어 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특히 라스를 분해하면 인체에 흡수가 잘되는 항암제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4-10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