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참사 공장 내부엔 리튬 화재때 쓰는 ‘D형 소화기’ 없어

화성 참사 공장 내부엔 리튬 화재때 쓰는 ‘D형 소화기’ 없어

곽진웅 기자
곽진웅, 명종원, 김중래 기자
입력 2024-06-25 14:16
업데이트 2024-06-25 14: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토안전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관리공단 등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기위해 화재현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2024.6.2. 도준석 전문기자
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토안전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관리공단 등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기위해 화재현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2024.6.2. 도준석 전문기자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등이 25일 경기 화성시 서신면 일차전지 제조공장에 대한 합동 감식에 돌입한 가운데 공장 내부에는 리튬 배터리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금속 소화기나 모래 등 소화 장비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불을 끌 장비가 없어 초기 진화가 어려웠던 탓에 사상자는 31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리튬 배터리 등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을 쫓아가지 못하는 안전 관리 규정 등을 이대로 두면 또다시 ‘복합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불이 난 아리셀 공장 3동 2층에는 배터리 화재 초기 진압 전용 ‘D형 금속 소화기’나 불을 끄는 데 쓸 수 있는 모래가 없었다. D형 금속 소화기는 팽창 질석·리튬·마그네슘 등을 사용한 소화기다. 리튬은 물과 직접 접촉하면 발열·화재·폭발 등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어 마른 모래로 불을 덮거나 금속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용 소화기를 써야 한다.

하지만 이 공장 내부에는 일반 소화기, 옥내 소화전, 화재 초기 경보를 통해 초기대응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등 일반 소화 장비 시설 정도만 구축돼 있었다. 소방 관계자는 “공장의 리튬 배터리 보관량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모래나 팽창 질석 등 구비가 의무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공장 직원들은 불이 나자마자 분말 소화기로 진화를 시도했지만, 초기 진압에 실패했다. 직원들은 소화기로 진화하면서 불이 옮겨붙을 수 있는 물건들을 치우려 했지만 리튬 배터리 연쇄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박순관 아리셀 대표는 이날 사과문을 발표하면서 “리튬 배터리의 위험성을 알기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리튬 진화에 적합한 분말용 소화기를 비치했다”며 “구체적인 소화기명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소방 당국도 화재 진압 당시 주변 소방청에 팽창 질석이나 모래 등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다만 소방차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배터리가 다 소화된 상태인 데다 다른 건물로 연소 확대를 저지하려는 목적으로 물로 진화하는 방식도 썼다.

이날 현장 감식에는 경찰과 소방당국, 국과수,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관리공단 등 9개 기관 40여 명이 참여했다. 불은 22시간이 지난 후 이날 오전 8시 48분쯤 완진됐다. 이날 오전 실종자로 추정되는 시신 1구를 추가로 수습하면서 사망자는 23명이 됐다. 중상 2명, 경상 6명이다. 사망자는 중국인이 17명, 한국인 5명, 라오스인 1명이다.
곽진웅·명종원·김중래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