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배, 악성 민원·보이스피싱 내게 맡겨” 퇴직 공무원 사회공헌 활용 더 늘린다

“후배, 악성 민원·보이스피싱 내게 맡겨” 퇴직 공무원 사회공헌 활용 더 늘린다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4-01-12 19:28
업데이트 2024-01-13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사처, 퇴직공무원 사회공헌사업 39→45개로 확대 추진

특이민원·재난안전관리 등 수요 높고
전문성·경험 필요한 분야 중점 배치
보이스피싱 잡는 ‘금융범죄예방관’ 확대
“민원 응대 등 국민 체감 분야 사업 추진”


이미지 확대
퇴직공무원 자료사진. 123RF
퇴직공무원 자료사진. 123RF
#사례1. 현직에서 엑스선검사(X-ray) 판독 업무를 담당했던 ‘매의 눈’ 퇴직 공무원 B씨는 지난해 관세청 인천공항에 배치됐다. 공직에 있을 당시 마약을 기가 막히게 잡아냈던 노하우를 십분 발휘한 그는 투입된 지 1년 만에 마약류 적발 실적을 2022년 83건에서 지난해 145건으로 75% 끌어올렸다.

#사례2. 공직에서 퇴직한 뒤 대구 남구의 ‘위기가구 전문 사례관리단’에서 사회공헌활동을 벌였던 전직 공무원 A씨는 무더웠던 지난해 8월 오랜 공직 노하우를 활용해 고독사 직전이던 1인 가구를 찾아내 소중한 생명을 살렸다.

#사례3. 충북경찰청은 일명 ‘보이스피싱’으로 불리는 전화금융사기 수사에 ‘금융범죄예방관’으로 퇴직 공무원들을 시범 투입해 보이스피싱 예방 활동을 펼친 결과, 도내 전화금융사기 발생 건수가 2022년 762건에서 지난해 610건으로 20% 줄었다.

오랜 공직 생활을 통해 쌓았던 노하우와 지식을 활용해 퇴직 후 사회공헌활동에 투입하는 퇴직 공무원들의 업무 영역이 올해 더욱 넓어진다. 올해부터는 퇴직 공무원들이 맡을 수 있는 사회공헌 업무 분야가 후배 공무원들의 고충 심리 상담, 재난 안전관리 등으로 대폭 확대된다.

인사혁신처는 12일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는 전략적인 퇴직 인력 활용을 위해 올해 ‘퇴직 공무원 사회공헌 사업’ 분야를 기존 39개에서 45개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인력도 321명에서 371명으로 50명 정도 더 늘린다.

인사처 관계자는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국민안전과 재난안전 분야에 1~2년간 수요가 꾸준히 있고 사업 예산도 5억원 이상 늘어나 부처에서 하던 기존 사업들 중에 효과성 확인이 안 된 6~7개 사업은 폐지하고 13~14개의 신규 사업을 늘릴 예정”이라면서 “높은 전문성과 오랜 경험이 필요한 안전관리·특이민원 대응 분야에서 퇴직 공무원 공헌 영역을 넓히려 한다”고 설명했다. 신규 사업은 공모를 받은 뒤 정책수혜자들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다음 달 중 전문가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미지 확대
특이민원 등 현장 공무원 고충 상담에도 퇴직 공무원을 사회공헌 활동 사업 일환으로 투입한다고 12일 인사혁신처는 밝혔다.
특이민원 등 현장 공무원 고충 상담에도 퇴직 공무원을 사회공헌 활동 사업 일환으로 투입한다고 12일 인사혁신처는 밝혔다.
올해 현장 공무원 고충 상담 투입
시행 8년차… 활동비 최대 150만원

올해는 현장 공무원 고충을 상담하는 ‘찾아가는 심리상담 서비스’와 전화 금융사기 등을 막기 위한 ‘금융 범죄 예방관’ 사업 등에 퇴직 공무원들을 중점적으로 투입한다. 악성 민원 등 현장 경험이 중요한 민원 대응 업무에 ‘선배’ 퇴직 공무원들이 전방위 지원사격에 나서는 셈이다.

앞서 지난해 인사처가 국가공무원 1만명을 대상으로 한 첫 감정노동 실태조사에서 폭언·협박 등에 시달리는 공무원들의 감정노동은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난 ‘위험’ 수준으로 나왔다.

퇴직 공무원 사회공헌 사업은 퇴직자들의 전문성을 활용해 공공 분야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2017년부터 시행돼 올해 8년 차다. 사업에 참여하는 퇴직 공무원에게는 1인당 최대 150만원 정도의 활동비가 지급된다.

그동안 국민 안전, 사회통합·행정혁신, 경제 활성화 등 대국민 접점 분야를 중심으로 퇴직 공무원들의 전문성을 활용해 행정 사각지대를 해소해왔다.

김승호 인사처장은 “민원 응대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분야에서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면서 “퇴직공무원의 전문성과 경험이 국민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퇴직공무원 사회공헌 신규사업 공모 포스터. 인사혁신처 제공
퇴직공무원 사회공헌 신규사업 공모 포스터. 인사혁신처 제공
세종 강주리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